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나의 이익(利益)을 위해서 남을 해롭게 할 필요가 없다.
    無佛스님法問 2013. 10. 3. 05:18

     

     

    불교를 말 할때 주로 삼법인(三法印) 또는 사법인을 말한다.

    「三法印」이란?

    일체개고(一切皆苦)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삼법인 이며 여기에

    열반적정(涅槃寂精)을 더하여 사법인 이라고도 한다.

    괴로움이라 하는 것은 모든 형상계가 「무상(無相)」하다는 것이다.

    무상(無相)이 아닐 것 같으면 괴로움이 있을 수 없다.

    무상(無相)이란 변한다는 의미이며, 변한다는 것은 고정성이 없다는 것이다.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모든 것은 실체가 없는 「제법무아(諸法無我)」 라고 말 한다.

    모든 존재의 실체가 없는 「무아(無我)」이기 때문에 「空」이라고 표현한다.

    "무아(無我)는 곧 공(空)이다".

    「색의 자성이 공(空)하다」.

    「공(空)」 하므로 「연기(緣起)」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부처님이 공(空)을 바람과 같다고 비유로써 말씀 하셨다.

    바람은 모양도 볼 수 없고 붙잡을 수도 없지만,

    그렇다고 아무것도 없는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공(空)이란 그 모양을 볼 수는 없지만

    결코 아무것도 없는 것은 아니다는 말이다.

    연기(緣起)란 서로의지 해서 있는 것. 즉 상의성 (相依性)을 말한다.

    풀이 하자면 네가 있기 때문에 내가 생겼다는 말이다.

    공간적으로 평등함을 말 한다.

    전체를 이롭게 하는 것이 선업(善業)이다.

    상대를 해롭게 하는 것이 악업(惡業)이다.

    과거는 기억이요, 미래는 상상속에 있을 뿐이다.

    남은 것은 오늘 현재 여기 밖에 없다.

    지금 이 순간 이 나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os)가

    "같은 강물에 발을 두변 씻을 수 없다" 하였다.

    우리들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순간순간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마음은 계산으로 잡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살아 있는 것은 움직이며 변 한다.

    생명 없는 조화는 시들지 않는다.

    살아 있는 장미는 아름답지만 시들지 않을 수가 없다.

    변할 때가 되면 변해야 정상이다.

    올때 오고, 갈 때 가야하고 갈 사람은 가고, 올 사람은 와야 한다.

    내 마음 도 모르면서 남의 마음을 알려고 부단 예를 쓴다.

    내 마음을 내가 왜 모를까?

    모르는 이유는 내 마음은 나도 모르게 늘 변하기 때문에 알 수 가 없는 것이다.

    시시각각(時時刻刻)으로 상대의 말과 표현에 따라 늘 변하기 때문에 이다.

    장미는 멀리 두고 봐야 아름답다.

    장미꽃을 분석하고 꺽으면 장미의 아름다움을 놓친다.

    가장 자연스러움 그대로 두고 볼 줄아는 「무심(無心」이 있어야 바로 보아지는 것이다.

    1.존재(存在) 하는 것은 다 괴롭다.

    2.존재(存在) 하는 것은 다 떠나니 무상(無相 한 것이다.

    3.내 것이란 어디에도 알고 보면 없다.

    4.왔으니 가야하는 것이 당연지사다.

    그러므로 나의 이익(利益)을 위해서 남을 해롭게 할 필요가 없다.

    *상의성(相依性)

    -상호의존해서 일어난다는 뜻이며 조건에 따라 생겨난다고도 바꿔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현상이 조건에 따라 상호의존해서 일어나는 원리를 차연성(此緣性)이라고도 한다.

    *헤라클레이토스 (Heraclitos)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BC 540~BC 480). 불이 조화로운 우주의 기본적인 물질적 원리라고 주장하였다. 만물은 유전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