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제17회 포교사고시 문제와 정답
    #佛敎 2012. 3. 8. 08:29

    1. 불교에는 석가모니 부처님뿐만 아니라 비로자나 부처님, 아 미타 부처님, 약사 부처님 등의 많은 부처님이 등장한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불교는 우주 만물에 신성이 깃들어 있다는 다신교를 주장 한다.

    ② 석가모니 부처님은 오직 육사외도만 성불할 수 있다고 설 명해 주셨다.

    ③ 불교에서는 여러 부처님 중 석가모니 부처님이 진정한 부 처님이라고 본다.

    ④ 불교적 관점에서는 누구나 성불할 수 있으므로 여러 부처 님이 있다고 본다.

    2. 다음 중 신(神)에 대한 불교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

    ① 불교에서는 신들의 무리를 외도(外道)라고 한다.

    불교에서의 신은 아직 윤회를 못 벗어난 존재이다.

    ③ 모든 부처님이 나중에 최고의 신인 창조주가 된다.

    ④ 사천왕은 아수라신 등을 수호하는 천신(天神)이다.

    3. 다음 중 반배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해우소나 공중목욕탕에서 스님을 뵈었을 경우

    ② 야외 법회 시 바닥이 젖었을 경우

    ③ 일주문이나 천왕문, 그리고 탑 등을 지날 경우

    ④ 법당에 들어가거나 나올 경우

    4. 다음의 법당 예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법당을 출입할 때는 정면의 중앙에 있는 어간문을 이용해 서는 안 된다.

    ② 법당 안에서 예배하는 순서는 상단으로부터, 신중단, 영단 의 차례로 한다.

    ③ 불단에 초와 향이 켜져 있으면 자신이 준비해 간 공양물은 불전에 올려놓고 3배만 올린다.

    법당을 나올 때는 아무도 없더라도 다른 사람이 참배할 것 을 대비하여 촛불은 켜 둔 채로 나온다.

    5. 불교에서 말하는 공양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불전에 올리는 공양물은 전통적으로 향, 초, 꽃, 떡, 과 일, 현금을 육법공양이라 하여 중요시해 왔다.

    ② 공양은 시물(施物)을 부처님께 바쳐 목마르고 배고픈 중생 에게 회향하고, 중생의 고통을 여의게 해주는 것이다.

    ③ 공양이란 원래 스님들에게 수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 이나 음식을 드려 깨달음의 텃밭을 일구게 한다는 의미이 다.

    ④ 부처님께서는 당시 수행 풍습대로 한 끼 공양을 하셨는데, 우리나라 사찰에서 올리는 사시 불공은 여기에서 유래한 것 이다.

    6. 다음 중 ‘개차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켜 더 큰 살생을 막은 것이 개차 법의 예라 할 수 있다.

    ② 개차법은 지범개차(持犯開遮)라고도 하며 작은 계를 버려 더 큰 계를 지키는 원리이다.

    ③ 계는 자유롭게 지키는 것이기 때문에 항상 자신의 주관적 판단을 따르면 된다.

    ④ 재가 신도들은 최소한 6재일만이라도 오계를 지키려는 노 력을 하는 것이 좋다.

    7. 사찰의 전각은 안에 모셔진 불상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 다음 중 건물과 모셔진 부처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것은?

    ①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신 법당으 로 절의 중심이 되는 건물인데,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 히는 영웅을 모신 집이라는 뜻이다.

    ② 적멸보궁(寂滅寶宮)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고 불단 만 있는데, 이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 있으므 로 형상을 따로 모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③ 대적광전(大寂光殿)의 본존은 비로자나불로서 연화장 세계 의 교주이시며, 연화장세계는 진리의 빛이 가득한 대적정 의 세계이므로 대적광전이라 부른다.

    원통전(圓通殿)은 극락세계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이며, 아미타불은 수명이 한량없기에 무량수전이라고 도 하고 미타전이라고도 한다.

    8.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어 표현하는 것을 수인(手印)이라고 한다. 다음 중 수인(手印)의 명칭과 모양이 바르지 않은 것은?

    항마촉지인 ② 지권인

    ③ 전법륜인 ④ 선정인

    9. 다음의 법구의 명칭과 쓰임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탁 - 의식을 집전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법구로, 대중 을 모을 때 신호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② 죽비 - 선방에서 수행자를 지도할 때 사용하는데, 입선과 방선, 그리고 공양할 때 신호하는 도구로 쓴다.

    요령 - 본래 밀교 계통에서 사용했으며, 우리나라 사찰에 서는 제사지낼 때에만 사용하고 부처님께 기도할 때는 사 용하지 않는다.

    ④ 염주 - 염불하거나 절을 하면서 그 수를 세기 위하여 사용 하는데, 보통 108염주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10. 불기 2556년은 어디에 근거를 둔 것인가?

    ① 출가일 ② 열반일

    ③ 성도일 ④ 우란분절

    11. 다음 경전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이 아닌 것은?

    위대하셔라 세존이시여, 위대하셔라 세존이시여, 마치 넘어진 사람을 일으키심과 같이, 덮인 것을 나타내심과 같이, 헤매는 이에게 길을 가리키심과 같이, 어둠 속에 등불을 들고 와서 눈 있는 이는 보라고 말씀하심과 같이, 세존께서는 온갖 방편으로 법을 설하여 밝히셨나이다.

    저는 이제 세존께 귀의합니다. 그리고 그 가르침과 승가에 귀의합니다. 원컨대 오늘부터 시작하여 목숨을 마칠 때까지 세존께 귀의하는 불자로서 저를 받아주시옵소서.

    《숫타니파타》 <사품>

    초기 불교교단에서 부처님은 반드시 삼귀의를 설하신 후에 법을 설하셨다.

    ② 이 경전은 모든 불교의식 때 빠짐없이 행하는 의례인 삼귀 의례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③ 불교의 삼귀의는 진리를 깨닫고 가르쳐 주시는 부처님과 깨달음의 내용에 대한 확신에 기반을 두고 있다.

    ④ 부처님께 귀의한 불자들은 목숨이 다할 때까지 깊은 믿음 을 잃지 않고, 지극한 마음으로 삼보를 공경해야 하고, 모든 일에 모범이 되어야 한다.

    12. 다음 중 부처님의 성도 과정을 설명한 것과 거리가 것 은?

    부처님은 바라나시의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으셨다.

    ② 부처님은 35세 되던 해 음력 12월 8일 새벽에 깨달음을 얻 으셨다.

    ③ 부처님은 깨달은 직후 보리수 아래에서 49일간은 법열을 만끽하시었다.

    ④ 부처님은 6년 간의 치열한 고행 끝에 중도의 수행법으로 깨달음을 얻으셨다.

    13. 다음은 《잡아함경》에 나오는 전도선언문이다. 전도선언 에 나타난 부처님의 전법 정신으로 볼 수 없는 것은?

    비구들이여, 전도를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안락과 행복을 위하여,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인간과 신들의 이익과 행복과 안락을 위하여 전도를 떠나되 두 사람이 한 길을 가지 말라. 비구들이여,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으며, 조리와 표현을 갖춘 법(진리)을 설하라. 사람 중에는 마음이 더러움이 적은이도 있거니와, 법을 듣지 못한다면 그들도 악에 떨어지고 말리라. 들으면 법을 깨달을 것이 아닌가. 비구들이여, 나 또한 법을 설하기 위해 우루벨라로 가리라.《잡아함경》 제39권

    ① 전도의 목적, 즉 불교를 전파하는 목적은 세상의 이익과 안락과 행복을 위한 것이다.

    ② 전도를 할 때에는 진리의 내용을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설명해 주어야 한다.

    전도를 할 때 여럿이 모여 다니면 이교도들에게 발각되기 쉬우므로 혼자서 다녀야 한다.

    ④ 전도는 교단의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열심히 실천 해야 한다.

    14. 다음 중 삼법인(三法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제행무상 ② 제법무아

    ③ 열반적정 ④ 견성성불

    15. 다음 중 삼독심(三毒心)과 삼학(三學)의 관계를 바르게 설 명한 것은?

    탐욕은 청빈하고 맑고 깨끗한 생활인 계(戒)로 다스린다.

    ② 화는 급히 올라오는 마음을 잠재우는 지혜(智慧)로 다스린 다.

    ③ 어리석음은 자신은 텅 빈 무아로 보는 선정(禪定)으로 다 스린다.

    ④ 탐욕, 화, 어리석음을 흔히 깨달음을 방해하는 삼학이라고 한다.

    16. 다음 중 불교의 수행과 거리가 것은?

    ① 수행은 혹독한 시련으로 자신을 단련하는 고행과는 다른 것이다.

    수행은 내면의 힘을 키워 무위자연의 도를 얻는 것이 목적 이다.

    ③ 수행은 철저히 나를 버리고 비워 진정한 자아를 찾는 과정 이다.

    ④ 수행을 통해 우리가 간직해야하는 것은 무명을 없애는 지 혜이다.

    17. 다음 중 불자의 신행 생활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불교는 ‘수행의 종교’,‘깨달음의 종교’이기에 믿음을 통한 안심입명(安心立命)은 불교적 가르침에 위배되는 미 신적 행동이다.

    ② 불교의 기도는 업장을 소멸하여 부처님의 가피를 얻는 것 이므로 스스로 노력하여 깨달음을 얻는 수행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③ 불교의 수행방법으로는 조사선, 간화선, 묵조선, 염불선 등이 있으며, 위빠사나 수행법은 소승불교의 수행법이므로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금지하고 있다.

    불교의 참회는 과거의 죄를 뉘우쳐 다시는 잘못을 저지르 지 않는 것인데, 죄의 본성이 본래 없고 고정 불변하는 실 체도 아니라고 본다.

    18. 다음 중 10재일의 명칭과 날짜가 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① 약사재일 - 음력 8일 ② 지장재일 - 음력 18일

    ③ 관음재일 - 음력 24일 ④ 미타재일 - 음력 30일

    19. 대한불교조계종의 뿌리와 전통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것은?

    ①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조(宗祖)는 우리나라에 선법을 최초로 들여온 도의국사(道義國師)이다.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은 금강경과 반야경, 화엄경, 법화경이다.

    ③ 보조지눌 국사와 태고 보우국사는 조계종을 다시 천명한 중천조이며, 중흥조이다.

    ④ 현재의 조계종은 1954년 정화운동을 거쳐 1962년 통합종단 ‘대한불교조계종’으로 출범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 부처님께서‘부모가 자식에게 해야 할 일’이라 일러주신 내용과 거리가 것은?

    ① 자식이 악행을 멀리하고 착한 일을 하게 해야 한다.

    ② 결혼시기가 되면 가정을 꾸리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③ 적절한 교육을 시키고 많은 재산을 물려주어야 한다.

    ④ 부모는 지극한 마음으로 자식을 사랑해야한다.

    21. 부처님의 생애에 있어서 네 가지 중요한 사건들이 갖는 의 미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부처님의 탄생게는 신 중심의 인간관과 세계관을 부정하고 인간의 진정한 자아회복을 불교의 핵심으로 선언한 것이 다.

    ② 부처님의 깨달음은 고행과 쾌락의 양 극단을 떠난 중도주 의 수행의 결과였다.

    ③ 초전법륜에서 가르치신 팔정도는 괴로움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실천방법이다.

    부처님의 열반에 즈음하여 모인 제자들에 의해서 불교의 승가가 처음 형성되었다.

    22. 팔정도에 대한 설명으로 그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정견(正見)-생각할 바와 생각해서는 안 될 바를 잘 분간하 여 마음을 쓰는 것

    ② 정어(正語)-말의 흐름을 잘 관찰하여 잘못된 구업을 짓지 않는 것

    ③ 정명(正命)-올바른 직업윤리를 지니고 정당한 직업을 통해 생활하는 것

    ④ 정념(正念)-찰나 찰나 몸과 마음의 움직임을 깨어있는 마 음으로 관찰하는 것

    23. 수행은 처음부터 일상사가 그대로 수행이 되어야 한다. 연 기의 원리를 일상사에 그대로 적용했을 경우에 나오는 수 행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공경하고 감사하는 생활을 추구한다.

    ② 더불어 어우러지는 기쁨 가득한 생활을 한다.

    자신에게 도움이 될 것과 되지 않는 것을 잘 관찰하여 구 분한다.

    ④ 화를 내는 순간 연쇄적으로 일어날 상황을 미리 간파하여 몸과 입과 뜻을 조절한다.

    24. 다음은 공(空)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공(空)’이란 말은 쑤냐(Śūnya)라는 범어를 한자로 번역 한 것이다.

    ② 쑤냐(Śūnya)는 텅 비어있음을 뜻한다.

    ‘공(空)’은 이 세상도 부정하고 부처님의 가르침도 부정 하는 것이다.

    ④ 『반야심경』은 ‘공’의 경지에 5온도, 12처도, 18계도 없 다고 설한다.

    25. 다음 보기는 유식사상에서 보살도를 다섯 단계로 구분한 것이다. 처음부터 수행의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 보 기 ]

    가) 자량위 나) 수습위 다) 통달위

    라) 가행위 마) 구경위

    ① 가-나-다-라-마 ② 가-라-다-나-마

    ③ 가-나-다-마-나 ④ 나-가-라-다-마

    26. 다음은 화엄의 사법계설(四法界說)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사법계(事法界)는 모든 현상적이고 차별적인 세계를 말한 다.

    ② 이법계(理法界)는 사법계를 성립시키는 본체적이고 평등한 세계이다.

    이사무애법계(理事無碍法界)는 본체와 현상을 둘로 구분하 여 바라본 세계이다.

    ④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는 현상계가 그대로 절대적인 진리의 세계라는 것이다.

    27. 원시불교의 주요한 선정설(禪定說) 중에 사념처관(四念處 觀)이 있다. 그 중에서 괴로움과 즐거움, 곧 고락(苦樂) 등 모든 감각 작용을 고(苦)라고 관하는 것은 다음 중 어 느 것인가?

    ① 신념처관(身念處觀) ② 수념처관(受念處觀)

    ③ 심념처관(心念處觀) ④ 법념처관(法念處觀)

    28. 다음은 선종(禪宗)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인도의 선과 전혀 관계없이 중국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수 행법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② 선종 중 북종선은 점수선(漸修禪)을, 남종선은 돈오선(頓 悟禪)을 각각 선양하였다.

    ③ 선종은 종지로‘교외별전(敎外別傳), 불립문자(不立文字),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표방한다.

    ④ 인간의 참성품을 보게 되면 바로 부처가 된다는 의미로, 견성이 곧 성불이라고 강조한다.

    29. 대승불교는 발원을 수행의 첫걸음으로 삼고 있다. 발원과 욕심의 차이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는 것은?

    ① 욕심은 개인의 이기적 바람이지만, 발원은 공통적 바람을 염두에 두고 있다.

    욕심은 현재에 중점을 둔 것이고, 발원은 미래에 중점이 두어져 있다.

    ③ 욕심은 본능적이지만, 발원은 능동적인 것이다.

    ④ 욕심은 결과를 중시하지만, 발원은 과정을 중시한다.

    30.‘부모가 장수하고 조상이 천상에 태어난다’는 효사상의 영향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 선망부모와 일가친척, 그리 고 제반 천도의식을 봉행할 때 많이 사용되는 기도의식은?

    ① 약사기도 ② 관음기도

    지장기도 ④ 칠성기도

    31. 다음 보기의 내용은 여러 가지 수행법 중의 하나를 설명한 것이다. 어떤 수행법인가?

    [ 보 기 ]

    묘지로 가서 시체(해골)의 모습을 보고 돌아와서 발을 씻고 편안히 앉아 마음과 몸을 유연하게 가지고, 모든 번뇌를 떠나 그 시체와 나의 몸을 비교하며 관한다. 이 수행법은 탐욕과 애정이 많은 사람들에게 인생이 무상함을 깨우쳐 탐욕과 애욕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부정관 ② 수식관

    ③ 사마타관 ④ 염불관

    32. 다음은 부처님이 나투신 형상인 불신(佛身)에 대한 관점인 삼신설(三身說)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이 바르지 못한 것 은?

    ① 법신(法身)을 독립시켜 인격화해서 부를 때는 흔히 청정법 신 비로자나불이라고 한다.

    ② 법신(法身)을 원인으로 삼아 그 과보로 나타난 몸을 보신 이라고 한다.

    ③ 보신(報身)은 법장비구였을 때의 48대원을 성취하여 나타 난 아미타불과 같은 몸이다.

    응신(應身)은 부처님의 자성(自性)인 진여(眞如) 그 자체 를 가리키는 것이다.

    33. 현재 한국불교전통을 대표하는 수행법인 간화선에 대한 설 명으로 거리가 것은?

    ① 간화선은 화두(話頭)라고 부르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공부 해나가는 참선법이다.

    ② 화두는 공안(公案) 또는 고칙(古則)이라고도 한다.

    ③ 임제종의 대혜종고 선사에 의해 제창된 것이다.

    화두는 문자만을 통해서 전승된다.

    34. 조계종의 『포교법』에서 밝힌 포교의 원칙과 방침이 아닌 것은?

    ① 수행정진(修行精進) ② 사교입선(捨敎入禪)

    ③ 정토구현(淨土具顯) ④ 수계청정(受戒淸淨)

    35. 대한불교조계종을 구성하는 4부 대중을 바르게 나타낸 것 은?

    ①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② 선원, 강원, 율원, 염불원 대중

    ③ 비구, 사미, 청신사, 행자

    ④ 사미, 사미니, 비구, 비구니

    36. 2011년, 대한불교조계종 13대 종정에 진제대종사가 추대되 었다. 조계종의 종정을 추대할 수 있는 자격과 거리가 종단의 직책은?

    원로회의 의원총무원장

    교육원장과 포교원장 ④ 호계원장과 중앙종회의장

    37.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장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포교원장은 총무원장의 추천으로 중앙종회에서 선출한다.

    ② 포교원장은 중앙종회의원을 겸직할 수 없다.

    포교원장은 승납 30년, 년령 50세, 법계 종사급 이상의 비 구, 비구니로 한다.

    ④ 포교원장의 임기는 5년으로 하며,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38. 사찰신도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사찰신도회장이 되기 위해서는 연령이 30세 이상으로 보살 계를 수지해야 한다.

    사찰신도회장은 주지스님이 덕망있는 신도중에서 직접 선 출하여 임명한다.

    ③ 사찰신도회는 그 활동에 있어서 당해 사찰 주지스님의 지 도를 받는다.

    ④ 사찰신도회의 임원은 종단에서 실시하는 연1회 이상의 재 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39. 조계종이 우리사회 각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불자지도자들 의 역량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 불자지도자 네트워크 결성 을 추진한 결과, 2012년 1월 31일 불교정신을 바탕으로 대 안마련과 갈등 해소를 위해 발족된 불교지도자 네트워크의 공식 명칭은?

    ① 불교발전기구 ② 불교포럼

    ③ 재가연대 ④ 수행결사

    40. 2011년 7월 5일 제정 공포된 신도품계 시행령에 의하면 발 심(發心), 행도(行道), 부동(不動), 선혜(善慧)의 4단계로 구분하며, 각 단계의 자격요건을 제시하고 있는데, 신도전 문교육 이수자 또는 종단에서 정한 재교육 이수 및 신행 경력자에게 주어지는 품계는 무엇인가?

    ① 발심(發心) ② 행도(行道)

    부동(不動) ④ 선혜(善慧)

    41. 다음의 ( )속에 알맞은 말을 세 글자로 쓰시오[4점]

    부처님 당시 육사외도들의 공통점은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고, 만물이 브라만 신으로부터 나왔다는 바라문교의 전변설(轉變說)로 일컬어지는 입장에 반대하여, 만물과 인간을 지, 수, 화, 풍 등 실재하는 요소로 구성된다는 ( )을 주장하였다.

    ( )

    42. 다음은 오분향 예불문의 일부분이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을 각각 쓰시오.[각 2점]

    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 ㉠ )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지장보살 마하살.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 ㉡ )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 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

    ㉠ ( ) ㉡ ( )

    43. 유식사상(唯識思想)에서는 일체의 현상을 세 가지 성격으 로 조망하였다. 이를 삼성(三性)이라고 하는데, 다음 막대 기의 비유를 읽고 그 성격의 이름을 각각 쓰시오.

    - 긴 막대가 실재 있다고 주장한다. -( ㉠ )

    - 긴 막대가 있다는 생각은 짧은 막대와의 대비를 통해 발생한 것이다. - 의타기성

    - 길이란 이렇게 상대적인 것이기에 그 막대에 본래적 길이가 없다는 것이 진실이다. - ( ㉡ )

    ㉠ ( ) ㉡ ( )

    44. 부처님은 질문 자체가 중생의 고통을 제거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존재의 본질에 관한 질문과 같은 것에 대해 침묵으로 그 답을 대신하였다. 이 가르침을 무엇이라 고 하는지 쓰시오.[4점]

    ( )

    45. 대한불교조계종 종헌 112조에 의하면, 사찰에는 당해 사찰 의 신도회, 교구에는 교구신도회를 둘 수 있는데, 총무원 장의 관할하에 중앙에 구성되는 신도회의 명칭은 무엇인지 다섯 자로 쓰시오.[4점]

    ( )


    제17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2교시]

    성 명

    수험 번호

    감독관

    확 인

    1.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손으로 여러 모양을 만들어 표현한 것을 수인(手印)이라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마 왕 파순의 항복을 받기 위해 자신의 수행을 지신(地神)에게 증명해 보라고 말하면서 지은 수인은?

    ① 선정인(禪定印) ②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

    ③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④ 지권인(智拳印)

    2. 다음 중 지장보살을 모신 법당과 관련 있는 것은??

    ① 용화전 ② 명부전

    ③ 약사전 ④ 팔상전

    3. 미륵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메시아로서 널리 알려진 미래불이다.

    ② 석가여래 열반 후 56억 7천만년 후에 나타난다.

    ③ 중생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현세적 소망을 성취케 한다.

    ④ 금산사와 법주사는 미륵도량으로 유명하다.

    4. 부처님이 설법하실 때 여러 성중과 함께 불법을 외호하는 호법신을 신중(神衆)이라 하는데, 다음 중 신중상의 종류가 아닌 것은?

    나한상 ② 사천왕상

    왕상 ④ 팔부중상

    5. 다음 중 목탑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삼국시대에는 석탑뿐만 아니라 목탑도 많이 조성되었다.

    ② 법주사 팔상전은 조선시대 이전에 조성된 유일하게 현존하 는 목탑이다.

    ③ 인도에서 많이 조성되었으며,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 해졌다.

    ④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목탑을 형식을 지닌 석탑이다.

    6. 통일신라시대(844년)에 세워진 것으로 현재 남아 있는 우리 나라의 부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①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② 전 흥법사 염거화상탑

    ③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④ 신륵사 보제존자 사리탑

    7. 석등(石燈)은 원래 집안의 정원을 밝히는 등화구였는데, 사 찰의 석등(石燈)이 배치되는 곳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불탑 앞 ② 부도 앞

    ③ 불당(佛堂) 앞 ④ 당간지주 앞

    8. 불화는 부처님을 비롯한 여러 존상을 형상화한 것이다. 다 음 중, 존상과 불화의 명칭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석가여래-영산회상도 ② 아미타여래-극락회상도

    ③ 비로자나여래-관경변상도 ④ 미륵여래-미륵하생경변상도

    9. 북두칠성을 불교화한 그림으로 본존은 북극성을 불교식으로 여래화한 치성광여래이다. 이 불화의 명칭은 무엇인가?

    ① 감로왕도(甘露王圖) ② 칠성도(七星圖)

    ③ 사천왕도(四天王圖) ④ 산신도(山神圖)

    10. 사찰에서 중요시 하는 네 종류의 법구인 사물(四物)을 바 르게 나타낸 것은?

    ① 범종・쇠북(금고)・발우・목어

    ② 범종・법고(북)・운판・목어

    ③ 범종・운판・발우・풍경

    ④ 범종・쇠북(금고)・운판・바라

    11. 다음은 사리(舍利) 장엄구를 설명한 것이다. 거리가 것 은?

    ① 믿음의 상징이자 신앙심의 표상이다.

    ② 겹겹으로 차림새를 갖추어 최대한 장엄하였다.

    ③ 사리 이외에 불상과 탑, 경전과 경문 등은 넣지 않았다.

    ④ 공예품으로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다.

    12. 범패는 좁은 의미로는 전문적 의식스님들에 의해 불리는 염불만을 말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범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아니리 ② 안채비

    ③ 화청 ④ 바깥채비

    13. 종합 수행도량인 총림에서 대중을 지도, 감독하고 선원에 서 기강을 담당하는 스님을 지칭하는 말은 다음 중 무엇인 가?

    ① 방장(方丈) ② 조실(祖室)

    ③ 찰중(察衆) 유나(維那)

    14. 부처님 당시부터 내려오던 승가 고유의 의결구조이며, 크 고 작은 모든 일을 결정할 때 전원이 참여하는 제도를 무 엇이라고 하는가?

    ① 안거 ② 대중공사

    ③ 포살

    15. 과거 일곱 부처님의 공통계율이라 불리는 ‘칠불통계(七佛 通戒)’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②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시제불교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

    ④ 법등명 자등명 법귀의 자귀의

    (法燈明 自燈明 法歸依 自歸依)

    16. 부처님께서는 성도 후 범천의 간청을 받고 포교전략을 세 웠다. 최초로 법을 설한 대상은 누구인가?

    ① 알라라 칼라마 ② 웃다카 라마풋다

    교진여 등 5비구 ④ 야사

    17. 다음은 부처님이 마하가섭 존자에게 법을 전한 것을 설명 한 것이다. 거리가 것은?

    ① 다자탑전 분반좌 ② 녹야원 초전법륜

    ③ 영산회상 염화시중 ④ 사라쌍수 곽씨쌍부

    18.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출가 사문들에게 논리적이고 학문 적 해설을 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논의제일(論義第 一)의 제자는 누구인가?

    가전연 존자 ② 사리불 존자

    ③ 부루나 존자 ④ 우팔리 존자

    19. 다음은 불교의 세계적 전파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인도 전역으로 급속하게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아쇼카 왕이다.

    ② 불교의 보호자로 자처하며 대승불교를 일으키는 데 앞장선 사람은 카니슈카 왕이다.

    ③ 상좌부불교는 스리랑카를 거점으로 하여 미얀마 등 동남아 시아 일대로 전해졌다.

    티베트의 송첸캄포 왕은 태국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이고 문자를 제정하였다.

    20. 오늘 날 남방불교계의 가장 권위 있는 논서로 꼽히는 『청 정도론』을 저술한 사람은 누구인가?

    ① 나가르주나 ② 붓다고사

    ③ 마힌다 ④ 암베드카르

    21. 신라 시대 원효스님의 업적과 거리가 것은?

    부처님께서 평생 동안 가르치신 경전을 다섯 단계로 분류 하였다.

    ② ‘해동의 석가’로 알려진 스님으로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 하였다.

    ③ 일심(一心)의 관점에서 불교의 모든 내용을 회통시켰다.

    ④ 일체 모든 것에 거리낌이 없는 행동으로 무애행(無碍行)을 실천하였다.

    22. 『화엄경』의 골자를 간추린 7언 30구의 〈법계도송〉과 〈법성게도〉라는 그림으로 널리 알려진 신라의 스님은?

    ① 원광(圓光, 555~638) ② 자장(慈藏, 590~658)

    ③ 원효(元曉, 617~686) ④ 의상(義湘, 625~702)

    23. 다음 중 『화엄경』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것은?

    ① 경전의 주인공은 지혜와 덕행을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보현 보살이다.

    중생의 근기에 따라 삼승(三乘)의 수행을 통해서 일승(一 乘)의 가르침에 이르도록 설법하고 있다.

    ③ 〈입법계품〉에서는 선재동자의 구법기를 바탕으로 세간과 출세간의 깨달음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④ 〈보현행원품〉에서는 보현보살의 수행법으로 열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24. 다음 중 경전 상에 나타난 부처님의 교화사례와 가장 거리 가 것은?

    ① 누구나 근기에 맞는 가르침만 주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② 먼저 수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서 상대방이 스스로 마음의 문을 열게 하였다.

    ③ 모든 문제의 원인이 자신의 외부에서 비롯됨을 스스로 통 찰하게 하였다.

    ④ 어떤 경우에도 선입견을 갖지 않고, 그의 본성인 불성(佛 性)을 신뢰하였다.

    25. 부처님은 당시 그릇된 정치적 관행, 불합리한 경제체제나 사회제도 등에 대해서 정확한 이해와 근본적인 대안을 제 시하며 비판적 설법을 하셨는데, 당시 유행하였던 인도사 회의 극단적인 사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신의론(神意論) ② 숙명론(宿命論)

    ③ 우연론(偶然論) ④ 연기론(緣起論)

    26. 다음 중 종단의 신도가 되기 위한 의무교육 과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입교교육 ② 기본교육

    ③ 전문교육 ④ 재교육

    27. 최근에는 뉴미디어 포교의 매체로 인터넷 포교가 중시되고 있다. 인터넷 포교의 장점과 거리가 것은?

    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포교의 대상을 확 장할 수 있다.

    ② 쌍방향적 의사소통을 통해 실시간으로 새로운 정보를 생산 ․ 수정할 수 있다.

    ③ 특정 관심사를 기반으로 세분화된 계층에 대한 정보전달이 용이하다.

    ④ 저급문화의 양산 ․ 보급을 사전에 차단하여 불교문화 발전 에 기여할 수 있다.

    28. 부처님 시대의 인도 사회에는 네 가지 신분 제도가 있었 다. 부처님은 어디에 속했는가?

    왕족 신분 ② 노동자 신분

    ③ 상인 신분 ④ 노예 신분

    29. 불교사에서 처음으로 경장을 결집하였을 때 이를 주도했던 지도자의 이름은 누구인가?

    ① 우팔리 ② 달라이 라마

    ③ 수보리 ④ 마하 가섭

    30. 중국의 현장은 인도에서 제4차 결집이 불멸 후 400년경에 카슈미르 환림사에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제4차 결집에 서 파르슈와 존자가 카니슈카 왕의 후원을 받아서 편집했 던 대주석서는 무엇인가?

    『아비달마대비바사론』 ② 『구사론』

    ③ 『이부종륜론』 ④ 『법화경』

    31. 인도 대승불교의 성립과 관련한 학설과 거리가 것은?

    ① 부파불교의 발전 양상에서 등장하게 된 운동이라는 설로 서, 대중부와 경량부 등 여러 부파의 교리 및 활동이 대승 불교의 성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힌두교와의 습합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설로서, 힌두교 의례 를 불교에서 채용함에 따라 다라니 의식 등의 불교의례가 정착되면서 성립되었다고 한다.

    ③ 불탑신앙의 전개와 더불어서 발전한 것이라는 설로서, 불 탑을 중심으로 모인 재가자들에게 붓다의 전기를 이야기해 주는 법사들을 지도자로 하여 발흥했다고 한다.

    ④ 대승경전을 비롯한 불전문학의 등장과 함께 한다는 설로 서, 붓다의 덕을 찬탄하는 새로운 경전이 작성되면서 성립 되었다고 한다.

    32. ‘일불승’(一佛乘)의 교의가 특징이며, 중국 불교사상 가 장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평가되는 경전은?

    ① 『화엄경』 ② 『유마경』

    ③ 『반야심경』 ④ 『묘법연화경』

    33. 중국 선종의 오가(五家)를 열거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위앙종 ② 임제종

    조계종 ④ 법안종

    34. 중국의 수․당 시대의 찬란한 불교문화는 송나라 이후 쇠퇴 하기 시작했다. 그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지식인 계층이 승려가 된 예가 드물었고 이로 인해 교단의 지위가 하락하였다.

    ② 신유학이 등장하면서 중국 고대 전통으로 복귀하려는 경향 이 고조되었다.

    ③ 인도와 중앙아시아 불교의 소멸로 인해 외국 전법사의 활 동이 종식을 고하였다.

    불교계의 종파 싸움은 국가적인 탄압의 빌미를 주었다.

    35. 신라의 불교 전래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떤 것인가?

    신라의 불교 공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자장 스님 의 순교 사건이었다.

    ② 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해 준 것은 고구려에서 온 스님들이 었다.

    ③ 국경 지대였던 경북 선산 지역을 중심으로 불교가 전파되 기 시작했다.

    ④ 공식적으로 불교가 수용된 후에 흥륜사가 세워졌다.

    36. 불교가 한반도에 수용된 이래 불교의 정치이론을 현실의 정치이념으로 사용한 대표적인 예로서 전륜성왕 이념을 들 수 있다. 다음 중 전륜성왕 이념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 용한 신라 국왕은 누구인가?

    ① 법흥왕 ② 광개토왕

    진흥왕 ④ 진평왕

    37. 다음은 삼국시대 불교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고구려 출신의 승랑은 5세기 후반 중국에 유학하여 강남지 방에 있는 섭산의 서하사에 머물면서 중국 섭론학의 기초 를 마련하였다.

    ② 백제 출신의 혜총과 관륵은 삼론학을 깊이 연구했으며 6세 기 말 이후 일본에 건너가 쇼오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 다.

    ③ 신라 불교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원광은 중국에 유학하고 귀국하여 점찰법을 통해 대중을 교화하였으며 화랑도에게 세속오계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④ 자장은 중국에 유학하여 계율학과 섭론학을 수학하고 대장 경 1부를 가지고 귀국하였으며, 황룡사 9층탑 건립을 주도 하였다.

    38. 고려 말 원나라에 유학하여 임제종의 간화선풍을 전래한 스님이 아닌 분을 고르시오.

    ① 백운 경한 ② 나옹 혜근

    ③ 태고 보우 ④ 보조 지눌

    39. 다음은 조선 전기 불교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틀린 것은?

    ① 태종은 불교계가 보유하고 있던 사원전 3~4만결과 노비 8 만 명 정도를 몰수하였다.

    ② 세종 30년에 최초의 한글 불서인 『석보상절』이 간행되었 다.

    ③ 세조는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법화경』 『금강경』 『능엄경』 등의 불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간행하였다.

    ④ 왕실에서 자주 수륙재를 설행하였고, 상례와 장례 등은 여 전히 불교적으로 거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40. 1908년 전국 사찰 대표자 60여 명이 원흥사에 모여 불교 종단을 재건하면서 선정한 종단 명칭은 무엇인가?

    원종 ② 임제종

    ③ 천태종 ④ 조계종

    41.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불교문화축제로 가장 오래 되고 지금도 행해지고 있으며, 2012년 1월말 문화재청으로 부터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불교전통문화축 제의 이름을 쓰시오.[4점]

    ( )

    42. 선원의 큰방에는 결제 때나 큰일을 치를 때에 소임과 그 소임을 맡은 스님의 법명을 적은 방(榜)을 붙여두는데, 이 것을 일컫는 용어를 세 자로 쓰시오.[4점]

    ( )

    43. 요 ․ 송 ․ 일본 등에서 수집한 불교서적 4천여 권과 국내의 고서를 모아 《신편제종교장총록》3권의 간행 목록을 편집 하고, 이 목록에 따라 《고려속장경》을 간행한 고려 전기 의 대표적은 스님은 누구인가?[4점]

    ( )

    44.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용, 길이, 형식, 법수 등으로 엮어 놓은 경전으로 부처님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가르침의 원 래 모습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경전의 이름을 쓰시 오.[4점]

    ( )

    45. 인도불교 최종 발전 단계로서 대승불교의 인도적 변용이라 고 볼 수 있으며 비공개적인 교의와 의례를 사자상승(師資 相承)에 의해 전수하는 불교이다. 현교(顯敎)의 상대적인 의미로 일컬어진 불교를 일컫는 말을 두 자로 쓰시오.[4 점]

    ( )


    제17회 포교사 자격고시 답안

    문항번호

    1교시 정답

    2교시 정답

    1

    4

    3

    2

    2

    2

    3

    1

    3

    4

    4

    1

    5

    1

    3

    6

    3

    2

    7

    4

    4

    8

    1

    3

    9

    3

    2

    10

    2

    2

    11

    1

    3

    12

    1

    1

    13

    3

    4

    14

    4

    2

    15

    1

    3

    16

    2

    3

    17

    4

    2

    18

    4

    1

    19

    2

    4

    20

    3

    2

    21

    4

    1

    22

    1

    4

    23

    3

    2

    24

    3

    3

    25

    2

    4

    26

    3

    2

    27

    2

    4

    28

    1

    1

    29

    2

    4

    30

    3

    1

    31

    1

    2

    32

    4

    4

    33

    4

    3

    34

    2

    4

    35

    1

    1

    36

    3

    3

    37

    3

    1

    38

    2

    4

    39

    2

    3

    40

    3

    1

    41

    적취설

    연등회 또는 연등축제

    42

    ㉠대행보현보살

    ㉡십대제자 십육성

    용상방

    43

    ㉠변계소집성

    ㉡원성실성

    의천 또는 대각국사

    44

    무기설 또는 무기법

    아함경 또는 아함부경전

    45

    중앙신도회

    밀교

    출처 : 관음불자회
    글쓴이 : 청운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