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용(起用)되면 도(道)를 행(行)하고 버려지면 물러나 은둔(隱遁)한다日念苾 2012. 2. 3. 06:27
用之則行,舍之則藏(용지즉행,사지즉장)
用(쓸 용), 之(갈 지),則(곧 즉), 行(행위 행), 舍(둘 사), 之(갈 지), 則(곧 즉), 藏(감출 장)
기용(起用)되면 도(道)를 행(行)하고 버려지면 물러나 은둔(隱遁)한다.
나아가고 물러날 때를 놓치는 지도자(指導者)와 무모한 업무추진(業務推進)으로 큰 손실(損失)을 부르는 경영인(經營人)과 난 모르쇠로 일관하는 정치인(政治人), 검사는 무조건 잡아들이고 판사는 근거(根據) 불충분(不充分)으로 석방(釋放)을 해주는 사법부의 현실(現實)은 국민(國民)이 바라는 '성공(成功)하는 leader'가 아닐 뿐 아니라 국민(國民)들로부터 믿음을 잃어 버렸다. 인질범으로 구속(拘束) 되었던 지강헌의 말 “無錢有罪,有錢無罪”이 생각난다.
공자(孔子)가 안연에게 말했다. "써주면 나아가 일을 하고, 버리면 숨어 지내는 것은 오직 나와 너만이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로가 물었다. "선생님께서 대군을 지휘하신다면 누구와 함께 하시겠습니까?" 공자(孔子)가 말했다. "맨주먹으로 호랑이를 잡고 맨몸으로 넓고 깊은 강을 건너려고 하면서 죽어도 후회하지 않는 사람과는 나는 함께 하지 않겠다. 반드시 큰일을 앞두고 조심하고 두려워하면서, 계획을 잘 세워 성취시키는 사람과 함께 하겠다."
2500년 전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는 그야말로 제후(諸侯)의 전성시대(全盛時代)였다. 정치(政治)에 참여(參與)하고 싶으면 반드시 어느 제후국(諸侯國)의 군주 마음에 들어야 등용(登龍) 되었기 때문에 어진 인재라 해도 그를 알아보지 못하면 초야(草野)에 묻혀 지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등용(登龍) 되면 나아가 벼슬을 할 수 있지만, 군주로부터 버림을 받으면 곧 물러나 자기 수양(修養)에 몰두(沒頭)하는 게 도리(道理)인데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그렇지 못하고 자리에 연연하여 끝없는 유세를 계속하기도 했다. 덕행(德行)에 있어 공자(孔子)에 버금가는 제자 안연에 대한 스승의 칭찬을 엿볼 수 있는 장면이다.
한편, 용맹(勇猛)스럽기로 이름을 떨친 제자 자로가 전쟁 지휘를 놓고 은근히 스승의 마음을 떠보지만 돌아오는 스승의 반응은 단호(斷乎)하다. 공자(孔子)는 이렇게 말했다. "지나치게 용감해서 앞뒤를 가리지 않고 덤벼들고, 사전 계획(計劃) 없이 큰일을 시도하는 사람과는 절대로 큰일을 함께 도모하지 않겠다." 사전에 충분(充分)한 준비(準備) 없이 큰일을 시도하려는 무모함과 지나친 만용(蠻勇)을 부리면서도 후회하지 않는 제자에게 그야말로 일침을 가한 것이다.
용(用)과 사(舍)를 세상으로부터 쓰여 지고, 어떤 단계(段階)에서 그 쓰임이 변하는 것으로 읽는다면 시대(時代)를 넘어서 읽혀진다고 생각합니다. 쓰여 지지 못할까 안달하는 것과는 차원(次元)이 다른 자유로운 삶인 것입니다.
낙선(落選)한 정치인이(政治人) ‘아! 이제 나 같은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구나!’ 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면, 연예인(演藝人)이 인기가 떨어지면 ‘아, 이제 대중은 이런 모습을 좋아하지 않는구나!’하고 깨닫고 받아들인다면 아마 자신을 보다 진실(眞實)하게 바라보고 그 진로(進路)를 모색하지 않을까요?
이 때 중요한 것은 그 내실(內實)을 튼튼히 하는 것입니다. ‘내면(內面)으로 돌아가 진실)眞實)한 힘을 키우는 것’입니다.
이것이 사지즉장(舍之則藏)이고, 이것은 호연지기(浩然之氣)와 통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자신의 쓰임새는 자기가 결정(決定)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자신은 자신의 최선을 다 할 뿐이다. 그래서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자유로운 삶이지요.
사지즉장(舍之則藏)은 결코 패배자(敗北者)나 은둔자(隱遁者)의 변(辨)이 아니라 용지즉행(用之則行)과 동일(同一)한 역동적(力動的)인 삶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뜻대로 안 되는 어려운 시기를 만나면 이 사지즉장(舍之則藏)이라는 단어를 적극적(積極的)이고 긍정적(肯定的)으로 떠올리는 것도 삶의 지혜(智慧)라는 생각이 듭니다.
동전의 앞․뒷면 처럼 어떤 역할(役割)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법이다. 용지즉행(用之則行)과 사지즉장(舍之則藏)이 일생에 한 번만 발생하는 일회성(一回性)이라면 아쉬움이 남는다. 인생(人生)의 master plan을 세우고 언제든 어느 곳에서든 용지즉행(用之則行)과 사지즉장(舍之則藏)을 통해 진퇴(進退)를 분명히 하면서 후진양성(後進養成)이나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mentor로서 새로운 용지즉행(用之則行)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마음의 여유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 두 영역을 유연하게 넘나드는 의식(意識)과 지혜(智慧)가 요구되는 시대이다.
진퇴유절(進退有節)이라!
옛날 선비들이 늘 가슴 속에 새기며 살았던 삶의 철학(哲學)입니다.
절(節)은 대나무 마디입니다.
대나무에는 마디(節)가 있어 옹골차게 높이 자라듯이,
인생(人生)도 나아감과 아울러 물러남이 있어야 더욱 옹골찬 인생(人生)이 될 것임이 분명합니다.
올해는 총선(總選)이 있어 국운(國運)이 크게 바뀔 전망(展望)이다.
나아가고 물러남이 분명하다면 인생(人生)에 화(禍)를 당하는 경우가 없을 것입니다.
물러나야 할 때 나아가려 하고, 나아가야 할 때 물러나는 것은 인생(人生)의 화(禍)를 자초하는 결과를 가져 올 것입니다. 진퇴(進退)를 잘못 알고 경거망동(輕擧妄動) 하였다가 인생(人生)에 쌓아놓은 모든 것이 무너져 버린 사람들을 참 많이 봅니다.
이번의 선택(選擇)이 정책결정(政策決定)의 주요한 선택(選擇)이므로 지금껏 지역이기주의(地域利己主義)에 의해 지역의 당으로 다시 전락되어서는 안 될 선택(選擇)이다.
이번 선택(選擇)에 의해 4년의 정책(政策)과 지역의 발전(發展)을 세밀히 따져서 인물다운 인물을 선택(選擇)하는 총선(總選)이 되어야 할 것이다.
당선전(當選前)과 당선후(當選後)의 모습이 180%다른 정치인(政治人)들을 보면 마약중독자(痲藥中毒者)들 보다 더 심한 정신질환(精神疾患) 증세를 보이는 중환자(重患者)라고 표현하고 싶다.
더 이상 경제발전(經濟發展)이라는 미명(美名)과 허구(虛構)로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를 훼손(毁損),파괴(破壞)하지 않고 민중(民衆)을 속이지 않는 덕(德)스런 지도자(指導者)가 나타나거나 선출(選出)할 수 있도록 진심(眞心)으로 기원(祈願)해 본다. 하여 사람이 자연(自然)과 함께 사는 그런 나라를, 더 이상 경제(經濟)가 아닌 마음 편하고 함께 행복(幸福)을 누릴 수 있는 소중하고 진정(眞正)한 삶의 질(質)이 향상(向上)되는 사람 사는 나라, 나눔과 소통(疏通)이 이루어지는 상생(相生)의 나라, 신명나는 우리의 보금자리를 만드는데 우리 모두 참여(參與)해야 할 것이다.
'日念苾'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난감 병정 정치꾼(politician)!! (0) 2012.02.08 방생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0) 2012.02.06 도둑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샘물은 마시지 않는다. (0) 2012.02.02 구멍은 사랑과 미움, 질시와 갈등(葛藤)이 뒤얽힌 복마전(伏魔殿)이다. (0) 2012.01.30 지혜로 바라보면 지옥조차 없어라.. (0) 201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