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두 가지 원을 발하라
    金剛經 2012. 2. 1. 06:20

    수보리야,
    한 마디로 말하면
    이 경에는 생각할 수도 없고,
    헤아릴 수도 없는 가없는 공덕이 있으니,

    여래는
    대승을 발한 이를 위해 이 경을 설한 것이며,
    최상승을 발한 이를 위해 이 경을 설한 것이다.

    이 경은 우리의 생각으로는
    도무지 헤아리거나 생각으로 따져볼 수 없는 가르침이다.
    이 경전을 머리로써 이해하고 생각하며
    분석함으로써 깨닫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

    머리로써는 도무지 담을 수 없다.
    머리로써 다 이해했다고 생각할지라도
    그것은 이해했다는 생각에 불과하다.

    그 이해는 생각의 틀을 넘어 서지 못한다.
    또한 이 가르침의 공덕이 얼마나 큰 것인지,
    아상 타파의 공덕이 얼마나 큰 것인지,
    대 해탈의 깨달음이 얼마나 큰 것인지를 헤아리려 하지 말라.

    그 헤아림은 절대
    내 경험과 생각의 틀을 벗어날 수 없다.

    현대인들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이든 따지려 들거나 연구하고 분석하고
    생각하여 정리하려는 습관이다.

    그런 과학적인 연구 분석을 통해
    무엇이든지 다 체계화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어떤 거사님께서 말씀하시길
    불교가 상당히 과학적인 듯 하여
    10년을 넘게 생각해 보고 연구해 보았는데
    도무지 확연해 지질 않는다고 답답해 하셨다.

    도무지 알 수 없을 뿐
    확연한 답이 나오지 않는다고 신경질적으로 말씀하시면서
    도대체 해탈이 무엇이고, 불성이 무엇인지,
    공이 무엇인지, 아상타파가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알 수 있도록 가르쳐 달라는 말만 되풀이 하셨다.

    10년 동안 도무지 모르겠고 답답해서
    유명한 스님들은 다 찾아가 물어보고 했지만
    머릿속에서 확실하게 정리시켜 줄 사람을 찾지 못했다고 했다.

    그런 생각과 정리, 분석과 연구로써는
    언제까지고 그 답을 알아낼 수 없으니
    ‘지금 거사님께서 도무지 모르겠고 답답한’
    그 속으로 들어가서 ‘답답해 미치겠는’
    그것과 하나 되시라고 말씀드린 적이 있다.

    도무지 모르겠는
    그래서 막막하여 오리무중인 그것이 바로 화두다.
    그 화두를 따지거나 분석하는 것으로 풀고자 한다면
    앞으로도 10년이 아닌 100년을 두고도 그 답은 얻을 수 없겠지만,
    ‘오직 모르는’ 그 속으로 들어가
    ‘모르기만 할 뿐’ 다른 그 무엇도 생각하지 말고
    오직 모르기만 할 때
    그 때 완전히 알게 되는 수가 있을 것이니
    그것이 화두라는 말씀을 드렸던 적이 있다.

    수행이 뒷받침되지 않고
    머리로써만 헤아리려 하고 생각하려 한다면
    더욱 더 멀어질 뿐이다.

    이렇듯 이 경에는
    생각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는 가없는 공덕이 있으므로
    여래는 대승을 발한 이에게,
    또 최상승을 발한 이에게 이 경을 설하신 것이다.

    대승을 발했다는 말은
    사사로운 아상에 갇혀 ‘나’라는 틀 속에서
    이기심으로 깨달음을 이루고자 하는 사람이 아닌
    진정 일체 중생을 위한 동체대비의 마음을 발한 이를 말하며,

    최상승을 발한 이는
    소소하게 공덕을 키우겠다거나
    복을 많이 짓고 착한 일을 많이 하겠다는 등의
    이유로 수행하는 사람이 아닌
    걸림없는 대자유와 대해탈의 열반을 얻고자 발심한 이를 말한다.

    대승을 발한다는 것과 최상승을 발한다는 것은
    수행자에게 있어 아주 중요한 발심의 요소가 된다.

    우선 첫째, 대승을 발심한다는 말은 무엇인가.
    보통 수행자라면 누구나 깨달음을 추구하게 마련인데,
    그것이 자칫 이기적인 마음에서,
    아상에 갇혀 있는 마음에서 발심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즉, ‘내가 깨닫겠다’
    ‘내가 깨달아 부처가 되겠다’
    ‘내가 깨달아서 많은 사람의 존경을 받겠다’는
    아상이 생길 수 있다는 말이다.

    이 마음은 어찌보면 아주 미세하게 일어나는 아상이기 때문에
    자칫 놓치기 쉽고,
    스스로 ‘나는 일체 중생을 위해 깨닫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상이 아니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아상이 있는 중생인 이상
    ‘내가 깨닫는다’고 하는 상은 언제까지고 따라다니게 마련이다.

    그것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아상이 없다면 발심할 필요가 없다.
    아상이 없다면 이미 깨달았다는 말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그러한 아상을 끊임없이 놓치지 않고 주시할 수 있어야 하며,
    원을 세울 때 자칫 아상에 물들지 않을 수 있도록
    가장 순수한 마음으로 일체 중생을 위한 동체대비심을 바탕으로 하는
    대승의 원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자신의 마음을 예민하게 돌이켜 비춰보라.
    ‘깨닫겠다’는 원 아래에는
    ‘내가’라고 하는 아상과 이기가 바탕이 되어 있다.

    끊임없이 올라오는 그 아상을 비추어 보고 놓아버림으로써
    일체 중생과 일체 만 생명을 구제하겠다는 마음이야말로
    동체대비의 대승의 원을 발하는 것이다.

    둘째로, 최상승을 발한다는 말은,
    자칫 수행자가 복이나 짓고 착한 일이나 함으로써
    선한 곳에 태어나길 바라기만 해서는 안 되며
    윤회의 사슬에서 벗어나
    대 자유, 대 해탈을 성취하고자 하는 원을 세워야 한다는 말이라고 했다.

    사실 사람들의 발심이
    이처럼 투철한 최상승의 발심이 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원칙적으로, 또 표면적으로는
    최상승의 깨달음을 이루겠다는 발심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현실에 있어서는 선을 행하고 복을 지음으로써
    천상에 나겠다는 이유로 수행을 하는 이들도 많다.

    다시 말해 수행을 하는 이유가
    내 몸 편하고, 내 마음 즐거우며,
    좋은 곳에 나고, 좋은 인연 만나며,
    다만 이 생이나 다음 생에서 행복하고 편하게 살고자 하는 마음으로
    기복적으로 기도하고,
    유위의 복만을 짓고자 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절에 다니는 신도님들 가운데
    최상승의 원을 발한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일반적으로는 보다 부자되길 바라고,
    보다 높은 자리에 오르길 바라며,
    보다 안정적인 월급과 노후를 바라고,
    적당히 복도 짓고 수행도 해서 편안하게 살길 바라며,
    가족이 행복하게 살기를 바란다거나 하는 등의
    지극히 세속적이고 작은 안락에만 만족하여 수행하는 이가 많다.

    대 해탈을 위해 깨달음을 얻겠다는
    최상승의 발심하였는가 스스로 돌이켜 볼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능히 수지독송하여 널리 남을 위해 설한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다 알고 이 사람을 다 볼 것이니,

    모두가 헤아릴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며
    가이 없고 생각할 수도 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진 것과 같다.


    이상에서와 같은 금강경 설법을 듣고
    능히 금강경을 수지독송하며 남을 위해 설한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다 알고 이 사람을 다 본다.

    여래는 인격적인 존재가 아니다.
    우리 안에 깊은 심연에 자리하고 있는 본래의 성품이며 참마음이다.
    우리가 마음 내어 발심했다면
    그 순간 이미 여래의 마음에도 전해지게 마련이다.
    여래는 이 사람을 다 알고 다 본다.

    또한 이 사람은 헤아릴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며
    가이 없고 생각할 수도 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될 것이다.
    ‘헤아릴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며, 가이 없고, 생각할 수도 없는’ 공덕이란
    바로 무위의 공덕을 말하는 것이다.

    무위의 공덕을 말로써는 도무지 설명할 수 없기에
    이렇게 긴 수식으로 방편을 써서 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람은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진 것이다.
    즉, 이처럼 금강경을 수지독송하며 전법하는 이야말로
    여래의 깨달음을 짊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여래의 깨달음이란 누구나 항상 지니고 있다.
    우리 깊은 마음 자리에는 누구라도 여래의 깨달음을 간직하고 있다.

    이미 우리는 깨달아 있다.
    다만 미혹할 뿐이다. 다만 모를 뿐이다.
    미혹하여 스스로 착각하고 있다.

    미혹 즉, 어리석음이 우리를 스스로 아상이라는 감옥에 가둔다.
    그렇게 스스로 만든 아상이라는 감옥 때문에 괴로워하고 있다.
    그러나 그 감옥은 누가 만들어 놓은 것도 아니고,
    누가 가둬 놓은 것도 아니다.

    스스로 실체 없는 감옥을 만들어 놓고
    스스로 그 감옥에 가둬 놓았으며
    그로인해 스스로 아파하고 고통당할 뿐인 것이다.

    그래서 금강경에서는 그 사실을 일깨워 주고 계신 것이다.
    스스로 만든 상이기 때문에
    스스로 그 상을 깨고 나올 수 있도록
    끊임없이 법을 설해주고 계신다.

    스스로 그 상을 깨고 나올 수 있는 수행법을 알려 주신다.
    그렇기 때문에 그 수행법대로 수행하는 이가
    바로 여래의 깨달음을 짊어지고 있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이미 깨달아 있지만
    그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수행법을 알려주셨고,
    그 수행법대로 실천하는 자야말로
    여래의 깨달음을 짊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짊어지고 있다면 다시 찾을 필요가 없다.
    그렇게 금강경을 수행하는 이는
    이미 짊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다시 찾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미 깨달아 있다는 사실을 확연히 알고 있다.
    그것이 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진다는 의미이다.

    '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장을 깨끗이 맑힘  (0) 2012.02.03
    소소한 법을 즐기지 말라  (0) 2012.02.02
    3가지 금강경 수행법  (0) 2012.01.31
    경을 지니는 공덕  (0) 2012.01.30
    실다움도 헛됨도 없다  (0) 2012.01.29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