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字)와 호(號)에 대하여 □ 자(字)에 대한 상식 ○ 本名 외에 붙이는 成人으로서의 또 다른 이름으로, 관례(성인식) 때 지어진다. ○ 성인이 되면 이름 대신 字를 부른다. ○ 字는 흔히 본명과 관련있게 지으며, 우리나라의 전통 사례(四禮)1) 중 관례(冠禮)의 습속이다. □ 호(號)에 대한 상식 ○ 이름이..
1. 타자의 손은 배트의 일부분으로 간주된다? 손은 타자 신체의 일부분이다. 투수가 던진공이 타자의 손에 맞는다면 볼데드가 된다. 타자가 그공에 스윙을 하면서 손에 맞았다면, 스트라이크가 선언되고(파울이 아님.), 타자가 공을 피하며 맞았다면 힛바이피치드볼로 1루에 진루할 수 있게 된다. 2. 타..
상소문 상소문/上疏文 Memorial to the King 1596년/127.1 x 32.8cm 정경세가 홍문관 교리로 있을 때인 1596년에 쓴 총 60행으로 된 상소문이다. 정경세(1563∼1633)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로서 승정원 부정자·홍문관 교리·대제학 등의 관직을 거치면서 공도를 확장하고 요행을 억제하며, 인재를 널리 취하고 ..
약초를 채취하는 시기 약초는 대개 야생 식물이다. 그러므로 약초를 채취한다는 것은 야생 식물을 채취하는 것이다. 약초는 그 종류가 무수히 많을 뿐만 아니라 약으로 쓰는 부위도 각기 다르며 산지와 채취하는 시기에 따라 약효와 유효성분 함량에도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약초를 채취하는 일은..
멋있게 넥타이 매는 방법 13 가지 V존의 인상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서 중요한 것들 중의 하나가 넥타이 매듭법이다. 셔츠의 카라 형태나 넥타이 폭의 너비,또는 생지의 두께에 의해서 그에 적합한 매듭법으로 V존을 연출할줄 안다는것는 "넥타이를 맨다"는 고유의 의미를 높여 주는 것의 하나라 여겨진..
축문(祝文)에 대(對)한 해설(解說) 축문의 종류는 여러 종류가 되는데 일일이 그격식을 따지자면 요즘같은 시대에 맞지 않을것이다. 시대가 변하고 생각하는 사고가 달라 졌는데 굳이 옛방식을 따를 필요가 없이 폐지되어야 할것은 폐지되고 현실에 맞는 그런 격식을 따라야 할것이다. 상례(喪禮)와 제..
제사의 순서 강신 - 참신 - 초헌 - 독축 - 아헌 - 종헌 - 첨작 - 삽시 - 합문 - 계문 - 헌다 - 철시복반 - 사신 - 음복 이중 바로 삽시(揷匙)가 숟가락을 꽂는 절차 입니다. 숟가락을 꽂는다 라는 뜻이죠. 이 삽시는 그 다음에 나오는 합문이라는 절차와 연관이 있습니다. <삽시의 의미> 삽시는 식사를 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