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政治(정치)가 成立(성립)되기 위한 三要素(삼요소)는 國民(국민),國家組織(국가조직), 그리고 조직의 支配權(지배권) 행사이다.
일찍이 孟子(맹자)는 “백성이 가장 귀중하고, 사직이 그 다음이며, 군주는 중요하지 않다(民爲貴,社稷次之,君爲輕:민위귀, 사직차지, 군위경).”고 하였다. 임금은 權力(권력)이며, 사직은 국가, 백성은 국민이다.
동양적 관점에서 최상의 정치는 ‘無爲之治(무위지치)’, 즉 애써 통치를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지는 境地(경지)다. 이러한 이상사회를 ‘堯舜時代(요순시대)’ 혹은 ‘堯舜之治(요순지치)’라고 한다.堯(요)임금은 중국 문화사에서 가장 이상적인 爲政者(위정자)로 推仰(추앙)받는다.
그가 천하를 다스린 지 50년이 되었을 때, 천하가 잘 다스려지고 백성들이 즐거운 생활을 하는지 직접 확인하고자 평민 차림으로 거리에 나섰다. 넓고 번화한 네거리를 지나 한적한 시골길에 접어들었을 때, 한 노인이 길가에 두 다리를 쭉 뻗고 앉아 손바닥 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를 들을 수 있었다.
“해가 뜨면 일하고(日出而作:일출이작), 해가 지면 쉬고(日入而息:일입이식), 우물 파서 마시고(鑿井而飮:착정이음), 밭 갈아 식량을 얻으니(耕田而食:경전이식), 임금의 덕이 내게 무슨 소용이 있으랴(帝力于我何有哉:제력우아하유재).”이는 정치의 고마움을 알게 하는 정치보다는 그것을 전혀 느끼지조차 못하게 하는 정치가 진실로 위대한 정치라는 것이다.
그러한데 작금의 정치는 집권을 위하여 편가르기에 앞장서고 지역 감정을 부추기는게 민주주의라 외치며 국민들을 생계도 핑계치고 길거리로 동원하고 SNS상 패널들을 동원하여 갈라치기하는게 우리나라의 정치 현실이다.
禮記(예기) 禮運篇(예운편)에서는 이보다 한 차원 더 높은 이상적 사회를 “大同社會(대동사회)”라고 하였다. 이러한 세상에 이르면 큰 도(大道)가 행해지고 어진 사람과 능력있는 자가 버려지지 않으며, 가족주의에 얽매이지 않고, 노인은 생을 편히 마치고, 젊은이는 모두 일할 수 있으며, 노약자・병자・불쌍한 자들이 버려지지 않고, 길에 재물이 떨어져도 줍지 않는다.
이 大同思想은 역대 제왕들의 이상적 통치형태일 뿐 아니라 근대 중국의 혁명가인 孫文(쑨원)도 최고의 이상사회로 삼았으며,毛澤東(마오쩌둥)과 蔣介石(장제스)도 다 같이 실천해야 할 이상사회로 보았다.
우리 나라의 栗谷(율곡) 李珥(이이)도 ‘聖學輯要’에서 정치적 功效(공효)의 理想型(이상형)으로 대동세계를 말하였다.'♥일상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가지 듣기 좋은 소리(三喜聲), 3가지 듣기 싫은 소리(三惡聲) (0) 2025.03.31 봄밤의 한 순간은 천금의 값어치가 있다. (0) 2025.03.13 길에서 눈짓으로 대화하다. (0) 2025.03.09 품었던 의심을 풀면 모든 망상이 다 사라진다. (0) 2025.02.23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 (0)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