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샹그릴라 설산 속의 비극宗敎 단상 2012. 2. 15. 06:59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고개인 히말라야 싱고라를 넘고 있는 설산 오지 사람들과 말의 행렬. 사진 조현
히말라야의 말뜻은 HIM(눈)과 ALAYA (거처)의 합성어로 된 싼스크리트어이다. 필자가 살고 있는 이 주(州) 이름은 히마찰프라데쉬, 즉 HIM(눈)과 ACHAL(덮인)의 합성어로 “눈 덮인 산들로 둘러 쌓인 땅”이란 뜻의 주 이름이다. 저 멀리 칼카타에서 이쪽 잠무까지 2.000킬로를 달리는 기차 이름이 힘기리 익스프레스, HIM(눈) GIRI(산), 바로 설산 특급행이란 뜻의 기차 이름이기도하다.
영원히 눈 덮인 히말라야, 또 이곳 주 이름 히마찰 프라데쉬도 “눈 덮인 산들의 고을(Land of Snowy Mountains)”이니 언뜻 얼마나 듣기 좋고 상상의 나래를 펴볼만 한 멋진 풍경일건가. 사실 구름 없는 해 좋은 날에 빛나는 하얀 설산 아래 마을이나 들판 평원은 아름답고 평화롭기만 하다.
북인도 히말라야 라다크의 설산 사진 조현
그러나 이 풍광이 늘 그러지 않다는 게 여기서 살아가는 민초들의 삶에 고통과 애환을 주고 있다. 사실 이쪽 고을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루디야드 키플링의 소설 “히말라야의 새”에서 인류 마지막 샹그릴라 이상향을 그린 배경이 바로 이곳 꿀루 계곡이기도 하다. 또 세상이 다 아는 라즈니쉬 영감이 미국에서 쫓겨 난 뒤 인도 남부 뿌나에 자리 잡기 전, 여기 꿀루 계곡에 터전을 잡고자 히마찰 주 정부에 의뢰했지만 거부당하기도 했던 곳이기도 하다.
필자는 이 한자리에서 올해로 북인도 천축 국 겨울 스물네 번째를 나고 있다. 올처럼 많은 눈이 내리고 추운 겨울은 처음이다. 얼마 전 내려 부친 폭설은 이곳 다람쌀라에만 3피트, 즉 90 쎈티메터를 기록하며 48년만의 많은 눈이라고 한다. 그 결과 정전이며 단수 소동에 애를 먹는 건 당연한 행사이고 완전 꼼짝 못하는 극한 상황에 빠지기도 했다. 유독 소나무가 많은 이곳에서 서래목(雪來木)이 많이도 생겼는데 아름드리 큰 나무도 여지없이 부러지기도 하여 보기가 참 애처롭기도 했다.
히말라야 설산의 블랙 야크 사진 조현
이상기후로 많은 인명 피해가 보도 되지만, 인도도 예외는 아니었다. 곳곳에서 집 없는 거리의 노숙자들이 얼어 죽었으며, 여기서 약 600킬로나 멀리 한참 아래로 떨어진 아그라 도시(세계 7대 불가사의 타즈마할이 있는 곳)에 65년만의 눈이 내리기도 했으니까. 그 지역은 여름 되면 50도 까지 올라가 더워 죽는 저 평지 도시인데도 올 겨울은 그리 추웠다고 한다.
흔히들 히말라야 하면 아름답고 멋진 하얗게 빛나는 만년 설산을 상상 하리라. 여기 살면서 아름다운 히말라야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비극적인 사고를 보고 듣는다. 우선 이 마을에서도 때 아닌 눈보라 폭설(아발란취)에 걸려 꼼짝 못하고 눈 속에 파묻혀 죽는 사고를 보았다. 그땐 젊은 청년 셋이서 이쪽 산 고개 인드라하라 패쓰(4340메타)를 넘다가 무서운 악천후에 걸려 사고를 당했는데 한 청년은 천신만고 끝에 눈을 헤짚고 나와 죽음을 면했다. 두 청년은 시신조차 거두지 못했는바 이런 폭설이 내리면 몇 달이 지난 뒤에나 눈이 녹아 그 자리에 올라 갈 수가 있기 때문이며, 설령 올라간다 해도 이미 그 땐 산짐승들이 다 먹어치우기 십상이다. 지금도 그 산길 위쪽엔 돌로 비목(悲木)을 만들어 둔 돌탑이 있다.
여러명이 참사를 당한 무니곰파에서 사는 어린 동자승들 사진 조현
사년 전 좀 끔찍한 사고로 인도 신문 방송에 까지 보도 된 사건이다. 이곳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한 고개가 있는데 눈만 없다면 쉽게 넘나들 수가 있는 고개로 “로탕 패쓰”라고 불린다. 해발 3.980메타이니 히말라야 산 고개 치고는 좀 낮은 고개이다. 해 마다 히말라야 산 넘어 일하는 인부들이 도로작업이며 축대를 쌓고 하다가 11월이 되면 미리 첫 눈이 내리기 전에 고개를 넘어 와야만 한다.겨울엔 작업도 없고 또 일거리가 없으며 그 혹독한 겨울나기를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때 인부들 40여명이 구룹을 지어 넘어오다가 사건이 터진 것이다. 그 안엔 거의가 가난한 네팔 막 노동자와 몇명의 인도 사람이었고 그 안에 한 스님이 일행으로 있었다. 라닥의 최 오지 잔스카 계곡의 무니 곰빠 스님으로 필자도 잘 아는 40대의 아직은 한창때인 젊은 스님이었다. 일행들이 하필 고개 정상에 이르렀을 무렵 예상치 못한 그 무서운 아발란취에 걸린 것이다. 그 누가 그 자리에서 눈 속에 파묻혀 앉아죽기를 바랐겠는가. 운 좋은
몇 사람만이 사투 끝에 아랫마을 까지 내려와 그 참상을 얘기 했지만 경찰이나 군인들도 언뜻 올라 갈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
보통 아발란취에 걸리면 사나흘 계속되는데 그땐 열흘이 넘게 눈이 퍼부었단다. 결국 보름이 지나서야 군인과 경찰이 헬기로 올라갔지만 많이도 덮인 눈 속에서 어떤 자취를 찾기 어렵게 되어 그냥 눈 녹을 때를 기다린다는 결정 외엔 방법이 없었다. 봄이 되어 다시 갔을 때는 이미 산짐승들이 시신을 다 없애 버린 상황이었고, 끝내 한 스님의 유해도 못 찾았으며 다만 남아있던 빨강색의 승복과 소외 경전으로 모시고 다니던 티벳 경전만 회수하여 함께 화장 아닌 화장을 치렀다고 한다. 그 소식에 필자는 참으로 가슴 아프고 마지막 비극의 죽음이 아쉽기만 했다.
히말라야 설산 무니곰파 동자들의 천진난만한 모습 사진 조현
작년 4월이다. 라닥에서 급한 전화다. 링세 곰빠 주민 여섯이 아이 둘과 함께 레에 나오다가 눈 폭풍에 걸려 생사가 위험하게 되었다는 얘기다. 어찌 해 볼 도리가 없다. 그저 애만 태울 뿐이다. 며칠이 지난 뒤 전화라니 다 시신으로 한 자리에서 발견되었다는 소식이다. 산짐승의 손을 타지 않은 것 만 해도 다행이란다. 올해는 꼭 그 오지 험한 골짜기에 자리 잡은 링세 곰빠를 가기로 언약이 된 상태다. 고개 다섯 개 넘는 일이며 미리 말 서너 마리 나와 줘야 한다. 그 절이며 고을 들른 지도 퍽 되었다.
몇 년 전 키노르 오지 산간 마을에 한국의 어느 독지가의 기부로 초등학교를 지을 수가 있었다. 그 마을에서도 눈사태가 일어나 많은 주민이 죽었고 다치기도 했다. 또 라닥 잔스카 지방의 샤까르란 마을은 지금도 그 흔적조차 없으니, 그 해 무서운 눈사태로 전 마을을 할퀴고 지나가버린 비극적인 사건도 있었다. 그것도 밤에 일어났단다. 필자가 매년 방문하는 지역이라서 애정이 가기에 더욱 가슴 저민다.이처럼 아름다운 히말라야의 이면엔 숨은 비극들이 도사리고 있는 것이 또한 현실이다. 이곳에 눈 많이 내린 소식을 한국에 전하니 더러는 경치가 좋겠다느니 스키 타면 신나겠다느니 다들 배부른 소리다. 항상 이 세상엔 양면성이 존재한다. 부자들의 이면에 가난한 빈자들이 있으며, 행복한 이들 뒤에는 불행한자들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어떤 지혜로 “어떻게 존재 하느냐.”가 똑같이 주어진 삶에서 행불행을 창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돈 많이 가진 자가 꼭 행복하다고는 말할 수가 없으며 가진 것 없다고 불행하다고는 말할 수 없으니까 말이다. 유네스코 보도 자료엔 가난한 국가 일수록 행복지수가 높다고 한다.
올 눈 많은 나날에 밖에도 못 나가고 오히려 내적으로 나를 깊이 구다 보는 계기도 되었다. 더불어 책도 많이 읽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도 어설픈 찬 날씨에 어서 따스운 봄날이 오기만을 기다린다.2012년 2월. 히말라야 산 비탈 몹시 거친 날에, 청 전 합장.
'宗敎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회 개신교 역사상 가장 타락…신사참배보다 나빠” (0) 2012.02.16 뾰족한 교회 철탑 … 안양 104개 없앤다 (0) 2012.02.15 人間이 없으면, 神도 없다. (0) 2012.02.10 眞身舍利(진신사리) (0) 2012.02.09 “절 집안에 무슨 진리가 있느냐, 절집은 승려들의 숙소일 뿐” (0) 201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