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문외가설작라(門外可說雀羅)
    ♤좋은글 2010. 4. 23. 06:48

     

     

     

     

     

    문외가설작라(門外可說雀羅)  

    門(문 문) 外(밖 외) 可(가할 가) 設(베풀 설) 雀(참새 작) 羅(그물 라)

    "문 밖에 새 그물을 칠 수 있다는 말로, 권세가 약해지면 방문객들이 끊어진다"는 뜻.  

    전한(前漢) 무제 때 급암(汲黯)과 정당시(鄭當時)라는 두 어진 신하가 있었다.

    그들은 학문을 좋아하고 의협심이 강해 한때 9경(九卿)의 지위에까지 오른 적도 있지만 지조가 강하고 직언하기를 좋아하여 매번 무제와 대신들을 무안하게 하였다.

    다른 대신들이 그들을 책망하면 이렇게 말하였다. "천자께서는 공경(公卿)들과 같은 보필하는 신하를 두셨는데, 어찌 신하된 자로서 아첨하며 뜻대로 따르기만 하여 옳지 못한 곳으로 빠지게 하겠는가?

    또 그러한 지위에 있으면 설령 자기 한 몸을 희생시키더라도 어찌 조정을 욕되게 하겠는가?”

    이 때문에 좌천과 면직을 거듭하다가 벼슬을 마쳤지만, 이들은 각기 협객을 자칭하며 찾아오는 손님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문 앞에서 기다리는 일이 없게 하고, 봉록 따위를 빈객과 잘 나누었다.

    그래서 현직에 있을 때는 방문객이 들끓었다. 그러나 이들이 관직에서 물러나고 집안 형편이 나빠지자 방문객의 발길이 뚝 끊겼다.

    이들의 열전을 쓴 사마 천(司馬遷)은 그 말미에 다음과 같이 평을 달았는데, 여기서 문전작라라는 말이 비롯되었다.
    급암과 정당시 정도의 현인이라도 세력이 있으면 빈객(賓客)이 열 배로 늘어나고, 세력을 잃으면 당장 모두 떨어져 나간다.

    그러니 보통 사람의 경우라면 더 말할 나위도 없다.

    하규(下邽)의 적공(翟公)은 정위(廷尉)가 되었을 때 빈객들이 문을 가득 메우다가 벼슬에서 물러나자 대문 밖에 참새를 잡는 그물을 쳐도 될 정도로 빈객의 발길이 끊겼다(門外可設雀羅).

    그러다가 적공이 다시 정위 벼슬에 나아가자 빈객들이 모여들었다. 이에 적공은 다음과 같이 대문에 써 붙였다.


    일사일생즉지교정(一死一生 卽知交情;한번 죽고 한번 삶에 곧 사귐의 정을 알고)
    일빈일부즉지교태(一貧一富 卽知交態;한번 가난하고 한번 부함에 곧 사귐의 태도를 알며)
    일귀일천즉현교정(一貴一賤 卽見交情;한번 귀하고 한번 천함에 곧 사귐의 정이 나타나네.)
    급암과 정당시 역시 이와 같으니 슬프도다.


    문외가설작라는 이와 같이 권력의 부침에 따라 변하는 인심을 나타내는 말로, 한국 속담에

    '정승집 개가 죽으면 문상객이 문앞을 막지만 정승이 죽으면 문상객이 끊긴다'는 말과 통한다.

    문전작라(), 문전가설작라()와 같은 말이고, 문전성시()와 반대되는

    말이다.

     

    "한번 죽고 삶에 사귐의 정을 알고 한번 가난하고 부유함에 사귐의 태도를 알며 한번 귀하고 천하게 됨에 사귐의 정을 볼 수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