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업을 뛰어 넘는 길
    ◑解憂所 2012. 3. 2. 06:40

     

    업은 행위다.
    신구의(身口意)로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한 것이
    그대로 업이 되어 존재 속에 업력(業力)을 남긴다.

    그 업력은 잠재적인 어떤 세력이며 에너지로
    우리 안에 머물러 있다가
    인연의 때를 만나면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가져 온다.

    그것이 바로 인과응보의 법칙이요,
    업인과보의 법칙이다.

    그렇듯 한 번 지은 업은 반드시
    받아야지만 소멸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업을 피할 수 있는 곳은 어디에도 없다.

    [법구경]에서는 말하고 있다.
    "하늘에도 바다에도 산중 동굴에도
    사람이 악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곳은 아무데도 없다."

    이처럼 자신이 지은 업은
    반드시 자신 스스로 받아야 끝이 난다.

    그러면 여기에서 의문이 생긴다.
    불교에서는 분명 수행을 통해 업장이 소멸된다고 했는데
    업장은 그것을 받기 전에는 소멸하지 않는다면
    이 두 가지 가르침 사이에는 큰 오류가 있는 것이 아닌가.

    또한 아무리 선한 업을 많이 짓더라도
    과거에 지은 악한 업이 선업에 의해 상쇄되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큰 죄를 지은 사람이라면
    어차피 착하게 살아도 죄의 과보를 받을 것인데
    선업을 애써 지을 필요가 뭐가 있겠느냐고 자포자기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과연 그런가?
    이에 대해 부처님께서는 소금물의 비유로써 답을 주고 계신다.

    한 움큼의 소금을 한 잔의 물 속에 넣으면
    그 물은 짜서 마실 수 없게 되지만,
    그것을 큰 그릇에 넣으면
    마실 수 있는 물이 된다.

    잔 속에 넣은 소금의 양과
    큰 그릇 속에 넣은 소금의 양은 동일하지만,
    물의 양에 따라 마실 수 있는 물이 되기도 하고,
    마시기 힘들만큼 짠 물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한참 갈증이 심할 때
    소금 한 움큼이 들어 간 많은 양의 물은
    갈증을 해소 해 주는 소중한 감로가 되기도 하고,
    더 나아가 그 그릇에 온갖 양념을 하고 나물을 넣어
    국이나 찌게를 끓인다고 생각해 본다면
    그것이 도리어 맛깔스런 음식이 되어 우리에게 돌아 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과거에 악업을 지어 놓았다고 하더라도
    그 업을 기계론적이나 결정론적으로 반드시
    나쁘게 받아야만 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즉, 나쁜 업을 지었어도 그 뒤에 좋은 업을 많이 지으면
    이미 지은 나쁜 업에 대한 과보가 나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즉, 과거에 어떤 업을 지었느냐가
    내 삶을 좌지우지하는 가장 중요한 결정적인 요소가 아니라,
    오직 지금 이 순간 내 의지에 따라
    자신의 삶과 운명을 자신 스스로 변화시키고 개척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불교를 운명론이나 숙명론이라고 하지 않고
    업보론, 업인론이라고 하는 것이다.
    업보론은 운명론이나 숙명론과는 이처럼 분명 다르다.

    소금물을 넣었다면
    반드시 그 물을 내 스스로 먹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즉, 악업을 지었다면
    반드시 그 악업의 과보를 내 스스로 받아야 하는 것은 분명한 것이다.

    그러나 그 물을 먹을 때
    내 선업을 얼마나 더 쌓았느냐에 따라
    짠 소금물을 먹을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물을 먹을 수도 있는 것처럼,
    악업을 지었더라도 그 악업을 받을 때는
    결정론적으로 악한 과보를 반드시 받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란 말이다.

    이처럼 악행을 많이 하고, 죄업을 많이 지었더라도
    그 죄업을 참회하며, 반성하고,
    다시금 선업을 더욱 많이 짓고,
    선한 생각, 선한 말, 선한 행동을 많이 함으로써
    업을 선하게 변화시킨다면
    악업의 과보를 받더라도 괴로워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물론 반대로 과거에는 선한 업을 많이 지었더라도
    그 선업의 결과를 받을 때
    좋지 않은 모습으로 받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과거의 선업이나 악업은
    우리 힘으로 어쩔 수 없기 때문에
    운명적으로, 숙명론적으로 무조건 받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내 스스로 바꾸고 변화시켜 갈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법성게에 '일념즉시무량겁'이라고 한 말처럼
    한 생각이 곧 무량한 시간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
    즉, 과거 무량한 시간 동안 수많은 악업을 지었다고 하더라도
    지금 이 순간 한생각 맑고 청정하게 일으켜
    선업을 짓고 수행 정진한다면
    지금 이 순간의 맑은 일념으로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과거 무량겁 동안의 악업이 있더라도
    한생각 맑고 청정한 지혜를 일으키면 성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또 다른 예를 들어 보자.
    전생에 내가 어떤 사람에게 심하게 욕을 했다 치자.
    '너 같은 녀석은 그냥 죽는게 낫다. 죽어 버려라'

    이 구업은 분명히 업력을 남기게 되고,
    다음 생에 나는 내가 욕한 그 사람에게 똑같이 욕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구업의 결과를 받을 때,
    내가 쌓은 선업과 내 수행력의 차이에 따라
    똑같은 악한 구업의 과보는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번 생에 태어나
    선업을 많이 지었다면 자연스럽게 내 삶이 맑고 밝아질 것이고,
    선업을 지은 법계의 기운에 따라 내 주위는 선한 기운이 넘쳐흐를 것이다.
    또한 수행을 많이 한 사람이라면
    자기 중심이 딱 서 있을 것이고,
    어떤 욕이나 경계를 당하더라도 이겨낼 수 있는
    내적인 수행력이 우뚝 서 있을 것이다.

    그런 사람이라면
    전생에 내가 행한 욕설을 이번 생에 다시 받게 되더라도
    그 욕에 휘둘려 마음을 괴롭히지는 않을 것이다.
    그런 수행력과 선한 인연이 충만한 사람이라면,
    어느 순간 상대방에게 '너 같은 녀석은 그냥 죽는 게 낫다. 죽어 버려라'
    하는 욕을 얻어 먹었다고 하더라도
    그냥 잠깐 마음 아프기는 할 지언정
    그렇게 괴롭다거나 진짜 죽고 싶거나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더욱이 수행력과 법력이 선 사람이라면
    그 정도 욕을 얻어 먹는 것은
    그 사람 마음에 아무 영향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그 사람 마음의 평화를 깨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그러한 욕설로 인해 마음을 관하며 수행의 재료로 삼을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이번 생에 태어나서도
    끊임없이 악행을 하고 악업을 짓고 산 사람이라면
    당연히 그 사람 주위는 어둡고 탁한 기운이 넘쳐 흐를 것이고
    마음은 허약하고 나약할 것이 분명하다.
    그런 나약하기 짝이 없는 사람에게
    '너 같은 녀석은 그냥 죽는 게 낫다. 죽어 버려라'고 한다면
    그 사람에게 그 욕설은 너무나도 괴로운 영향을 줄 수도 있고,
    조금 극단적인 경우라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자살을 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더러 군에서 보면 자살을 하는 장병들이
    그렇지 않아도 집안 환경도 좋지 않고, 미래도 분명치 않고,
    여자 친구와도 헤어졌고, 업친데 덮친 격으로
    선임병과도 사이가 좋지 않던 차에 함께 근무하던 선임병이
    '너 같은 놈은 그냥 죽어 버려라'고 욕설을 퍼 부었다면
    그로 인해 자살을 하게 되는 것을 종종 목격해 왔지 않은가.

    그렇듯이 똑같은 업을 지었더라도
    그 업을 어떤 상황에서 받느냐에 따라,
    어떤 인연일 때 받느냐에 따라
    그 업은 큰 차이를 가지고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첫째, 선업을 짓는 것이 중요하고
    둘째, 수행을 통해 수행력을 증장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어차피 우리는 누구라도 악업을 짓지 않고 산 사람은 없다.
    과거 전생 또 그 전생 혹은 이번 생의 과거에서라도
    누구나 악업을 많이 짓고 살아 왔다.

    그렇기에 우리는 언제 그 악업에 대한 과보를 받을 지 모른다.
    분명한 사실 하나는 내가 지은 업은 분명히 과보를 남긴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언제 받을 지 모를 과보를
    괴롭게 받지 않기 위해
    또 다른 선업을 짓는 것이고 수행을 하는 것이다.

    선업을 많이 지으면
    선업의 기운이 나라는 존재를 맑고 청정하게 바꾸어 주기 때문에
    많은 물에서는 한 움큼의 소금이 짜지 않듯
    많은 선행과 선업을 지은 사람에게 악의 과보나 죄의 과보도
    그리 괴롭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행을 통해 수행력을 키우면
    어지간한 괴로움이나 경계나 과보 쯤은
    크게 휘둘리지 않을 수 있을 만큼 자기 중심이 잡히고,
    자기 안에 주인공의 뿌리가 내리게 되기 때문에,
    과보를 받더라도 그것이 나를 괴롭힐 수 없는 것이다.

    선업을 짓는다는 것은 '복'을 키운다는 의미고,
    수행을 한다는 것은 '지혜'를 키운다는 뜻이다.
    그래서 부처님께 우리가 귀의하는 이유가
    부처님은 '양족존'이시기 때문인 것이다.
    즉 부처님은 복과 지혜가 충만하게 존숭하신 분이기 때문인 것이다.

    부처님은 선업과 악업의 사슬, 윤회의 사슬 속에서
    선업과 수행을 통해 복과 지혜를 구족하심으로써
    그 사슬, 수레바퀴를 벗어나신 것이다.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라는 칠불통게를 보면
    '諸惡幕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
    모든 악은 저지르지 말고,
    모든 선은 받들어 행하며,
    스스로의 마음을 맑고 깨끗이 하라.
    이것이 곧 여러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라고 했던 것도
    모든 악을 버리고 모든 선을 쌓음으로써 '선업'을 쌓고,
    그 마음을 맑고 깨끗이 하는 '수행'을 쌓아
    복과 지혜를 다스려야 한다는 여러 부처님의 거룩한 가르침인 것이다.

    그러면 전생이나 과거에 지은 악업에 대한 과보를 받는 것은 언제인가.
    그것은 바로 '지금 이 순간' '지금 여기'에서다.
    그 어떤 업의 과보라도 '지금 여기'에서 받을 수 있는 것일 뿐,
    어찌 과보를 과거에 받거나 미래에 받을 수 있단 말인가.
    미래에 과보를 받는다는 것도
    사실은 말을 미래라고 표현했을 뿐이지
    그 과보를 받는 순간, 그 순간은 현재가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과보를 받는 순간이 '지금 여기'라는 현재라면,
    '지금 여기'라는 현재를 잘 다스린다면
    과보를 받더라도 크게 휘둘리지 않으며 여여하게 받을 수 있다는 결과가 된다.
    그 말은 현재만 잘 다스린다면
    우리 삶은 아무 문제 없이 평화로울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즉 현재를 잘 다스리는
    '지금 여기'의 수행과 선행 속에
    업장을 소멸할 수 있는, 업을 뛰어넘을 수 있는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말인 것이다.

    사실 업장소멸이라는 말이 이런 의미다.
    업장이 받지도 않고 수행만 하면 그냥 소멸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수행, 마음공부를 통해 업장을 받더라도 받지 않는 것 처럼
    내 마음을 바꿀 수 있다는 뜻인 것이다.

    그래서 이처럼 선업을 짓는 것과 수행을 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두 가지는 바로 '지금 여기'라는 현재의 문제인 것이다.
    지금 여기라는 현재를 잘 다스리면
    우리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지혜가 생기고,
    존재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생기며,
    업인과보의 법칙 속에서 업을 뛰어넘을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수행자의 두 가지 할 일은
    선업을 지음으로써 '복'을 증진시키는 일과
    수행을 쌓음으로써 '지혜'를 증진시키는 일인 것이며,
    그 두 가지는 오직 '지금 여기'라는 현재 속에 있는 것이다.

    '지금 여기'라는 현재를 다스리면
    과거와 미래까지 완벽하게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이미 지나간 과거에 얽매여 괴로워하지도 말고,
    아직 오지도 않은 미래에 얽매여 고민하지도 말고,
    오직 지금 이 순간을
    선행과 수행으로써 잘 다스리면
    시공을 초월하여 존재를 일깨우는 최상의 삶의 방식인 것이다.

    업을 두려워하지 말라.
    불교의 업사상은
    업에 빠지고 집착하여
    선악의 업장에 노예가 되라고 있는 가르침이 아니라
    선악을 초월하고 업을 초월하여
    더 많은 선업을 짓고,(제악막작 중선봉행)
    그 마음을 청정히 하여 수행하도록 이끎으로써(자정기의)
    부처님 가르침을 올바로 전하기 위한 가르침인 것이다.

    '◑解憂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놓고 가면 자유롭다.   (0) 2012.03.06
    탐욕의 끝은?  (0) 2012.03.05
    욕망이 아닌 '필요'에 의한 삶   (0) 2012.02.29
    직관, 깨달음의 순간은 어떠한가?   (0) 2012.02.28
    일상 속에서 깨닫는 수행   (0) 2012.02.28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