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음청(觀音請)
※매월 음력 24일은 관음재일로서 관음청을 하며,관음경 독송,관음예문을 할 수 있다.
보례진언 -목탁-
普禮眞言
아금일신중 즉현무진신 변재관음전 일일무수례
我今一身中 卽現無盡身 遍在觀音前 一一無數禮
옴 바아라 믹 (3번)
천수경 -목탁-
千手經
※천수경을 대중 다 같이 독송한 다음
거불 -목탁-
擧佛
나무 원통교주 관세음보살
南無 圓通敎主 觀世音菩薩
나무 도량교주 관세음보살
南無 道場敎主 觀世音菩薩
나무 원통회상불보살
南無 圓通會上佛菩薩
보소청진언 -목탁-
普召請眞言
나무 보보제리 가리다리 다타 아다야 (3번)
유치(原文) -합장-
由致
앙유 관음대성자 자용심묘 비원우심 위접인중생 내상처미타불찰 입
仰惟 觀音大聖者 慈容甚妙 悲願尤深 爲接引衆生 乃常處彌陀佛刹 入
적정삼매 우불리백화도량 보응시방 심성구고 불리일보 찰찰현신 약
寂靜三昧 又不離白花道場 普應十方 尋聲救苦 不離一步 刹刹現身 若
신공양지의 필차감통지념 유구개수 무원부종 시이 사바세게 차사천
伸供養之儀 必借感通之念 有求皆遂 無願不從 是以 裟婆世界 此四天
하 남섬부주 동양 대한민국 모도 모군 모산 모사 청정지도량 모처거주
下 南贍部洲 東洋 大韓民國 某道 某郡 某山 某寺 淸淨之道場 某處居住
모인보체 이차인연공덕 ○○○지원
某人保體 以此因緣功德 ○○○之願
이 금월금일 건설법연 정찬공양 원통교주 관세음보살 훈근작법 앙기
以 今月今日 虔設法筵 淨饌供養 圓通敎主 觀世音菩薩 薰懃作法 仰祈
묘원자 우복이 친소편혜 표심향 무화이보훈 앙고자문 청면월 이공이
妙援者 右伏以 親燒片慧 表心香 無火而普熏 仰告慈門 請面月 離空而
곡조 잠사어보굴 청부어향연 앙표일심 선진간청
曲照 暫辭於寶窟 請赴於香筵 仰表一心 先陳懇請
유치(우리말) -합장-
우러러 생각하옵건대, 관음대성께옵서는 자비로운 용모가 매우 미묘 하시고, 인자하신 서원 더욱 깊으사, 중생들을 이끌어 인도하시기 위해서 항상 아미타 부처님 국토에 머무시고, 적정한 삼매에 드셨으며 백화도량을 여의지 않으시매, 시방세계에 두루 응하사 소리따라 괴로움을 건져 주시고 한 걸음도 옮기지 않으시나 국토마다 몸을 나타내신다 하셨사오니, 공양 올리는 정성 간절하오면 반드시 감응의 힘을 내려 주시와 구하는 일 모두 이루어 주실 것으로 아옵니다. 그러므로, 오늘 사바세계 이사천하 남섬부주 동양 대한민국 ○○도 ○○군 ○○산 ○○사 청정도량에서 ○○에 거주하는 ○○○등이 이 인연공덕으로 ○○하게 되옵기 바라는 소원으로(축원은 상황에 따라) 법연(法筵)을 법다이 마련하옵고 정성어린 공양구로 원통교주 관세음보 살님께 공양하나이다.
법요를 정성껏 닦아 신묘하옵신 가피를 바라옵는 오늘의 재자 등은 한 조각 지혜를 향으로 사루어 불 없이 두루 퍼지게 하와 자비의 궁전에 전달하오니, 달이 허공을 떠나 골고루 비치듯 잠시 보배 궁전을 떠나셔서 이 자리에 강림하여 주옵소서. 간절하온 정성을 모아 청하나이다.
청사 -요령-
請詞
나무 일심봉청 해안고절처 보타낙가산 도량교주 삼십이응신 십사무
南無 一心奉請 海岸孤絶處 寶陀洛迦山 道場敎主 三十二應身 十四無
외력 사부사의덕 수용무애 팔만사천 삭가라수 팔만사천 모다라비 팔
畏力 四不思議德 受容無碍 八萬四千 爍迦羅首 八萬四千 母陀羅臂 八
만사천 청정보목 혹자혹위 분형산체 응제중생 심소원구 발고여락 대
萬四千 淸淨寶目 或慈或威 分形散體 應諸衆生 心所願求 拔苦與樂 大
자대비 관자재보살 마하살 유원자비 강림도량 수차공양
慈大悲 觀自在菩薩 摩訶薩 唯願慈悲 降臨道場 受此供養
향화청 (3번) 가영 -목탁-
香花請 歌詠
백의관음무설설 남순동자불문문 병상녹양삼제하 암전취죽시방춘
白衣觀音無說說 南巡童子不聞聞 甁上綠楊三際夏 巖前翠竹十方春
고아일심귀명정례
故我一心歸命頂禮
헌좌진언 -목탁,요령-
獻座眞言
묘보리좌승장엄 제불좌이성정각 아금헌좌역여시 자타일시성불도
妙菩提座勝莊嚴 諸佛坐已成正覺 我今獻座亦如是 自他一時成佛道
옴 바아라 미나야 사바하 (3번)
정법계진언 -목탁-
淨法界眞言
옴 남 (7번,21번)
다게 -목탁-
茶偈
금장감로다 봉헌관음전 감찰건간심
今將甘露茶 奉獻觀音前 鑑察虔懇心
원수애납수 원수애납수 원수자비애납수
願垂哀納受 願垂哀納受 願垂慈悲哀納受
사다라니(진언권공) -요령-
四陀羅尼(眞言勸供)
향수나열 재자건성 욕구공양지주원 수장가지지변화 앙유삼보
香羞羅列 齋者虔誠 欲求供養之周圓 須仗加持之變化 仰惟三寶
특사가지
特賜加持
나무시방불 나무시방법 나무시방승 (3번)
南無十方佛 南無十方法 南無十方僧
무량위덕 자재광명승묘력 변식진언
無量威德 自在光明勝妙力 變食眞言
나막 살바 다타아다 바로기제 옴 삼마라 삼마라 훔 (3번)
시감로수진언
施甘露水眞言
나무 소로바야 다타아다야 다냐타 옴 소로소로 바라소로 바라소로 사
바하 (3번)
일자수륜관진언
一字水輪觀眞言
옴 밤 밤 밤밤 (3번)
유해진언
乳海眞言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밤 (3번)
예참 -목탁-
禮懺
지심정례공양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관세음보살
至心頂禮供養 普門示現 願力弘深 大慈大悲 觀世音菩薩
지심정례공양 심성구고 응제중생 대자대비 관세음보살
至心頂禮供養 尋聲救苦 應諸衆生 大慈大悲 觀世音菩薩
지심정례공양 좌보처 남순동자 우보처 해상용왕
至心頂禮供養 左補處 南巡童子 右補處 海上龍王
유원대자대비 관세음보살 수차공양 명훈가피력 원공법계제중생 자
唯願大慈大悲 觀世音菩薩 受此供養 冥熏加被力 願共法界諸衆生 自
타일시성불도
他一時成佛道
사대진언 -목탁-
四大眞言
보공양진언
普供養眞言
옴 아아나 삼바바 바아라 훔 (3번)
보회향진언
普回向眞言
옴 삼마라 삼마라 미만나 사라마하 자거라바 훔 (3번)
원성취진언
願成就眞言
옴 이모카 살바다라 사다야 시베 훔 (3번)
보궐진언
補闕眞言
옴 호로호로 사야모케 사바하 (3번)
백의관음무설설 남순동자불문문 병상녹양삼제하 암전취죽시방춘
白衣觀音無說說 南巡童子不聞聞 甁上綠楊三際夏 巖前翠竹十方春
정근 -목탁-
精勤
※명호를 부르며 시간에 따라 알맞게 정근함.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南無 普聞示現 願力弘深 大慈大悲 救苦救難 觀世音菩薩
관세음보살 멸업장진언
觀世音菩薩 滅業障眞言
옴 아로늑계 사바하 (3번)
구족신통력 광수지방편 시방제국토 무찰불현신
具足神通力 廣修智方便 十方諸國土 無刹不現身
원멸사생육도 법계유정 다겁생래제업장 아금참회계수례
願滅四生六道 法界有情 多劫生來諸業障 我今懺悔稽首禮
원제죄장실소제 세세상행보살도
願諸罪障悉消除 世世常行菩薩道
원이차공덕 보급어일체 아등여중생
願以此功德 普及於一切 我等與衆生
당생극락국 동견무량수 개공성불도
當生極樂國 同見無量壽 皆共成佛道
축원 -합장-
祝願
앙고 대자대비 관세음보살 불사자비 허수낭감
仰告 大慈大悲 觀世音菩薩 不捨慈悲 許垂朗鑑
상래소수공덕해 회향삼처실원만
上來所修功德海 回向三處一圓滿
시이 사바세계 차사천하 남섬부주 동양 대한민국 (모처 모산 모사) 청정수월도량
是以 娑婆世界 此四天下 南贍部洲 東洋 大韓民國 (某處 某山 某寺) 淸淨水月道場
원아금차 지극정성 헌공발원재자 모처거주 모인보체 이차 인연공덕
願我今此 至極精誠 獻供發願齋者 某處居住 某人保體 以此 因緣功德
일체병고재난 영위소멸 사대강건 육근청정 수명장원 안과 태평 부귀
一切病苦災難 永爲消滅 四大强健 六根淸淨 壽命長遠 安過 太平 富貴
영화 심중소구소원 만사여의원만형통지대원
榮華 心中所求所願 萬事如意圓滿亨通之大願
연후원 항사법계 무량불자 등 동유화장장엄해 동입보리대도량 상봉
然後願 恒沙法界 無量佛子 等 同遊華藏莊嚴海 同入菩提大道場 常逢
화엄불보살 항몽제불대광명 소멸무량중죄장 획득무량대지혜 돈성무
華嚴佛菩薩 恒蒙諸佛大光明 消滅無量衆罪障 獲得無量大智慧 頓成無
상최정각 광도법계제중생 이보제불막대은 세세상행보살도 구경원성
上最正覺 廣度法界諸衆生 以報諸佛莫大恩 世世常行菩薩道 究竟圓成
살바야 마하반야바라밀
薩婆若 摩訶般若波羅蜜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 석가모니불
南無釋迦牟尼佛 南無釋迦牟尼佛 南無是我本師 釋迦牟尼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