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수녀 출신 비구니가 본 "붓다 가르침"
    宗敎 단상 2011. 8. 7. 06:39

    수녀 출신 비구니가 본 "붓다 가르침"

     

    어느 한 종교를 택해 독실한 믿음을 갖고 살아가는 신앙인에게

    종교를 바꾸는 ‘개종’은 삶을 한순간 송두리째 바꾸는 인생의 ‘대 역사’일 수 있다.

     

    하물며 독신 수도자의 삶을 결정해

    수녀복을 입었던 여인이 머리를 박박 깎고 비구니가 된다면?

    최근 방대한 초기 불교경전 빠알리경의 요체를 추려 번역,

    단 한 권의 책 ‘한권으로 읽는 빠알리경전’(민족사)을 펴낸 비구니 일아(62) 스님은

    책도 책이려니와 그 신앙편력으로 해서 화제가 되고 있는 인물이다.

    “어릴 적부터 이성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수도자의 삶에만 마음을 둔 채

    천주교 ‘하느님의 종’이 되고자 수녀복을 입었다가

    채울 수 없는 허전함에 종신서원 직전 옷을 벗어던진 뒤 과감하게 머리를 깎았고

    혹독한 수행 끝에 귀결한 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온전하게 담았다는 초기 불경 빠알리경전.

    환갑을 넘긴 일아 스님은 무엇을 좇아 그토록 파란 많은 신앙의 길을 걸어왔을까.

    “자유와 관용.” 단호한 대답.

    “내 종교가 아니면 아니된다는 교리가 내 몸에 안맞아 길을 틀었을 뿐”이라고 말한다.

    “엄숙하고 자아에 대한 절제가 강한 가톨릭은 수도자의 길을 걷자던 나에겐 매력적인 종교였지요.

    2000년간 이어져온 전통엔 힘이 들어있지요.

    하지만 내가 갈 길이 아니었던 것 같아요.”

    ●법정 스님 만난 뒤 태국 등서 수행

    서울여대 재학중엔 영화며 음악을 좋아했고 문학과 여행에도 빠져살았다는 일아 스님은

    머리 깎은 스님보다는 수녀복에 몸을 감춘 수도자인 수녀가 그냥 좋았다고 한다.

    수녀가 되겠다는 말을 들은 부모님이 몸져 누울 만큼 반대가 심했지만

    결국 서울 샤르트르성바오로수녀회에 입회, 가톨릭 신학원을 졸업한 뒤 수녀가 됐다.

    그렇게 6~7년을 살았을까.

    불현듯 ‘내가 여기서 계속 살 수 있을까.’라는 회의가 들었고 수녀복을 벗었다.

    그래서 무작정 찾아간 게 송광사 불일암.

    일면식도 없던 법정 스님을 만나

    ‘올바른 수행을 할 수 있고 수행 잘하게 인도할 수 있는 스승이 있는 곳으로 보내달라.’고 간청해

    몸담은 게 비구니 사찰 석남사다.

    행자생활이 힘들었지만 견딜 만했다.

    하지만
    운문사 승가대학에서 공부하던 중

    부처님의 말씀을 고스란히 담은 빠알리어 초기경전을 가르치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이 커져갔다고 한다.

    불교에 귀의해 끊임없이 의심이 들었던 것은 바로 ‘깨달은 자 붓다’.

    “과연 붓다는 어떤 사람이었고 그의 사상과 행동은 어땠는지 파고들고 싶어 몸이 달았다.”고 한다.

    미얀마의 마하시명상센터와 태국 위백아솜 위파사나 명상수도원에선 정말 목숨걸고 수행을 했다.”고 자신있게 말한다.

    ●간화선에 매몰된 한국불교 비판

    붓다의 일거수일투족을 알고 싶어 40대 중반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스토니브룩주립대 종교학과 학사과정과 웨스트대 비교종교학과 대학원서 석·박사를 마쳤다.

    영어를 알아들을 수 없어 일일이 강의를 녹음한 뒤 노트에 옮겨적어 통째로 외울 만큼 ‘지독한 공부벌레’로 이름나 있다.

    LA로메리카 불교대학 교수도 했고,

    LA갈릴리 신학대학원에선 불교학 강의도 했다고 한다.

    “컴퓨터와 디지털의 홍수 속에서 아날로그와 잉크 묻힌 롤러 등사기를 고집하는 지진아.”

    간화선에 매몰된 한국불교를 혹독하리만큼 비판하는 일아 스님은

    “부처님의 가르침과 말씀을 온전하게 담은 빠알리경을 배우지 않으면 한국 불교의 미래는 없다.”고 잘라 말한다.

    그래서 매달린 게 이번 나온 책이다.

    “부처님 직계 제자들의 부처님 말씀 암송을 집대성한 빠알리경은

    삼법인, 사성제, 팔정도 등 불교의 기본 교리를 온전하게 담고 있지만 양이 너무 방대해 쉽게 접근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일반인이 쉽게 깨달을 수 있도록

    “나의 모든 것을 포기한 채 2년여간 두문불출 작업 끝에 세상에 내놓게 됐고

    무엇보다 이 책을 통해 한국불교의 닫힌 시각과 고정적인 인식의 벽이 깨지기를 바란다.”고 출간 배경을 밝혔다.

     

    출처 : hacobang
    글쓴이 : 곰파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