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대체 앎〔知〕이란 무엇입니까?
    ◑解憂所 2007. 10. 26. 07:52



      도대체 앎〔知〕이란 무엇입니까? 객승이 물었다. "저는 반평생 동안 학문을 닦아왔습니다. 그리하여 불조(佛祖)의 언교(言敎)를 섭렵했습니다. 그런데 책을 마주하면 언제나 늘 아는 것 갈았읍니다. 그러나 감각적인 자극에 초연하지 못하고 애증(愛憎)의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나는 말했다. "그대의 말은 앎〔知〕을 개괄적으로는 설명하긴 했지만, 핵심 을 찌르지는 못했습니다. 앎에는 영지(靈知)도 있고, 진지(眞知)도 있으며, 망지(妄知)도 있읍니다. 영지는 바로 도(道)이고, 진지는 곧 오(悟)이고, 망지는 즉 문자 로 아는것입니다. 앎이라는 측면에서는 모두 같지만 나눈다면 하루와 영겁(永劫) 처럼 엄청난 차이가 납니다. 참선하는 사람이 이치는 헤아려보지 않고, 대충 알고서 히망한 집착을 내고 시비를 일으켜 도의 근원을 흐려 놓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마저 매몰시켜 버립니다. 배휴(裴休: 797∼870)가 말한 것처럼 '혈기(血氣)가 있는 생명체 에게는 반드시 앎〔知〕이 있는 법'입니다. 그리고 '그 앎은 다 똑같다'고 했는데, 이것은 바로 영지(靈知) 를 말한 것입니다. 영지는 범부와 성인, 미혹과 깨달음에 관계없이 조금도 차이가 없는 앎입니다. 이것은 본래부터 마음 바탕에 넉넉히 갖추어진 것으로서 더하거 나 덜어낼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은 「화엄경」에서 '일체의 법이 마음에 상즉(相卽)한 자성 (自性)임을 알았다면, 지혜의 몸[慧身]을 성취하는 것이 다른 깨달음에 의한 것이 아니다'고 한 것과 같으며,「원각경」에서 '헛꽃[空華]인줄 알았다면 바로 윤회가 없으리라'한것과, '허깨 비인 줄알고 그대로 떠나면 빙편을 쓸 필요가 없다'고 한 것과 다 같은 말입니다. 이 말은 진지(眞知)는 바로 오입(悟入)해서 된다는 것입니다. 미혹의 구름이 활짝 걷혀서 사량분별을 뚝 끊고 알음알이 내지 않기를 마치 무슨 일을 오랫동안 잊었다가 문득 기억해 내듯이 해야 합니다. 그러면 그 순간에 해탈(解脫)하여 모든 것이 다 진실해집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그 나어지는 결코 옳을 리가 없읍니다. 또 「원각경」에서 '중생은 아는 것[解]이 장애가 되지만, 보살 은 깨달음[覺]을 떠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또 '말세 중생이 성도(成道)하기를 바라거든 깨달음[悟]을 구 하지 말라, 그것은 다문(多聞)만을 더하고, 아견(我見)만을 키 울 뿐이다’고 하였읍니다. 이것은 모두 망지(妄知)를통해 깨달으려는 것을 통렬히 지적해 말한 것입니다. 지극한 이치를 궁구하교 성품을 밝히는데, 종일토록 수없는 변 론으로 결론에 도달하려는 것이 바로 망지입니다. 이것은 따져볼 것 없이 이미 그 이전에 잘못되어버린 것입니다. 그러므로 석가모니께서는, 설산(雪山)에서는 깨달은 그림자 만 을 보이셨고, 최후로 백만 대중 앞에서 꽃 한가지를 들어 깨달 은 이치를 나타내셨습니다. 조사들이 제자들을 가르치는 방법이 서로 동일하지 않았으나, 가까이하면 마치 불무더기와 같았고, 태아(太阿)의 검처럼 날카 로왔으며, 우레와 같이 우렁차고, 독약같이 무서웠읍니다. 그러나 이와같이 어묵동정(語默動靜)하는 사이에 끝내 바느질한 흔적도 지름길도 용납하지 않은데는 다 까닭이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종문(宗門)에서는 깨달음의 자취를 찾는 것을 용납 하지 않았으며, 또한 그것을 법진(法塵)이라고 비난했고, 견해 의 가시라고 배척하였습니다. 종문에서 이렇게 한 것은미(迷)와 오(悟)를 둘 다 잊어버리고 신령한 근원에 젖어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였읍니다. 혹 이렇게 하지 않고 자기가 아는 것으로 걸핏하면 허망을 드러 내는것은 마치 봉사가 횃불을 들고 대낮에 길에 나가는 것과 같 은 일입니다. 이렇게 하는 것은 길을 밝히는 효과도 없을뿐 아니라, 계속 횃불 을 들고 있다가는 손마저 태우게 될 것입니다. 나 또한 진지(眞知)를 깨우치지 못한 사람으로서 망지(妄知)를 쓰는데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그대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함으로써 내 자신을 경책했을 뿐 입니다.”

    '◑解憂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스로가 관세음보살이 되자  (0) 2007.10.29
    법을 보는 이 여래를 본다.  (0) 2007.10.26
    하늘에도 없는 꽃  (0) 2007.10.25
    허물을 고쳐 착한 길로 나가라  (0) 2007.10.25
    20가지의 경계  (0) 2007.10.2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