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절에서 범종을 울리는가?
이른 새벽 또는 해질 무렵 울리는 산사의 범종(梵鐘)소리는 절을 찾은 이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
일반인들이 쉽게 다룰 수 없는 불구(佛具)이기에 범종각 안에서 익숙한 몸짓으로 범종을 치는 스님의 모습은 엄숙하기까지 하다.
조석예불 때마다 울리는 범종은 어떤 의미로 타종되는 것일까.
불전사물 중의 하나인 범종은 절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 시각을 알릴 때 주로 사용해왔으나
점차 조석예불이나 의식 때도 치게 됐다.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의식집인 〈석문의범〉에 의하면 종은 소리를 통해 중생이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얻도록
이끌어준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 종소리를 듣는 순간, 번뇌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종소리를 듣고 법문을 듣는 자는 생사의 고해를 넘어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다고 한다.
운판 법고와 같이 범종 역시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불전사물 중 하나
소리로서 중생구제
절에서 예불을 올릴 때마다 두드리는 범종은 이러한 뜻을 담고 있으며 치는데도 법도가 있다.
범종을 치는 횟수는 예불마다 다른데, 새벽예불을 할 때는 28번 저녁예불에서는 33번을 치도록 정해져 있다.
이 28과 33이란 숫자도 저마다 뜻을 갖고 있는데,
28번은 삼계(三界) 즉 안이비설신(眼耳鼻舌身)의 욕망이 존재하는 욕계(欲界)의 6천,
욕계 위의 세계로 욕망을 떠난 청정한 세계인 색계(色界)의 18천,
무념무상의 무색계(無色界) 4천을 뜻한다.
33은 욕계 6천중의 하나인 도리천의 33천을 상징한다.
도리천은 수미산의 정상에 있는 세계로 도리천의 왕인 제석천왕이 있는 선견성을 중심으로
사방에 8성씩 32성을 포함해 총 33성을 갖고 있다.
조석예불의 범종소리는 삼계와 도리천에 전해져 이곳의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특히 33번의 타종은 불교뿐만 아니라 12월31일 자정에 있는 보신각 종 타종에도 영향을 미쳐,
국가와 민중의 안녕을 바라는 의식으로 자리 잡게 됐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