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사의 종류
1) 기제(忌祭)
고인이 돌아가신 날(忌日)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이다.
기제의 봉사(奉祀)대상은 과거에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에는 가정의례준칙에 의거, 2대조까지와 후손이 없는 3촌 이내의 존·비속에 한해서만 기제를 지낸다.제사 시간은 예서에 의하면
궐명(厥明: 먼 동이 틀 때)에 시작해서 질명(質明: 날이 밝아올 때)에 끝낸다고 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관습적으로 그 날이 되면 제일 먼저
그 날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는 일부터 해야 한다고 했으므로 첫시간 (子時)에 지냈다.이 때 자시는 전날 밤 11시부터 그날 새벽 1시까지의 시간이나
실질적으로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 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냈었다.
그러나 요즘은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그 날 해가 진 뒤 어두워지면 아무 때나 적당한 시간에 지낸다.제사는 제주(祭主)의 집에서 지내는데
고인의 장자(長子) 나 장손(長孫)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한다.
장자나 장손이 없을 때는 차자(次子)나 차손(次孫)이 주관한다.제사에 참석하는 사람(參祀者)은 고인의 직계 자손으로 하며 가까운 친척도 참석할 수 있다.
「주자가례」나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기일을 맞은 당사자 한 분만을 모신다고 되어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두 분(位)을 함께 모셔 왔으므로 이 관습을 무시할 수 없다.
가정의례 준칙에서도 부모가 모두 별세하였을 경우 합설(合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2) 차례(茶禮)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에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이다.
보통 아침에 지낸다(정확히는 아침 해 뜨는 시간).
요즈음에는 정월 초하루의 연시제(年始祭)와 한식, 추석절의 절사(節祀)가 이에 해당된다.자기 집에서 기제를 받드는 모든 조상께 지낸다.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무축단작(無祝單酌)이라 하여 축문이 없고 술은 한 잔만 올린다.
(1) 연시제(年始祭)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로서 봉사 대상은 원래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은 2대조까지만 한다.
차례 드리는 방법은 봉사 대상이 되는 여러 분을 한꺼번에 모신다.
지방은 합사(合祀)하는 경우 한 종이에 나란히 쓴다. 메는 떡국으로 대신한다.(2) 추석 제사
음력 8월 보름에 지내는 제사이다.
차례를 지내는 봉사 대상은 모든 직계 조상으로 하며, 제수는 새로 익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한다.
메는 송편으로 대신한다.(3) 한식(寒食) 성묘
한식은 청명(淸明) 다음날로 동짓날로부터 계산해서 105일째 되는 날이다.
이 날은 예로부터 조상께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가는 것이 관습이었다.
한식이란 말은 옛날 중국에서 비와 바람이 심해서 불을 때지 않고 찬밥을 먹었다는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3) 사시제(四時祭)
철을 따라 1년에 네 번 드리는 제사로서,
매중월(每仲月 : 2월, 5월, 8월, 11월) 상순(上旬)의 정일(丁日)이나 해일 (亥日)을 가리어 지낸다.
보통 날짜는 전달 하순에 정한다.제사 전 3일 동안 재계한다.
제사 하루 전날에는 정침(正寢: 안방)을 깨끗이 청소하고 신주 모실 자리를 마련한다.
방 한가운데에 향탁(香卓)을 놓고 그 위에 향로 향합 촛대를 놓는다.
주부는 제기를 갖추어 손질하고 제찬을 정결하게 마련한다.
밤새도록 촛불을 밝혀 두고 다음날 (제삿날)날이 밝으면 아침 일찍 일어나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는 제복을 입고 사당으로 나아가 분향한 뒤 신주를 정침으로 내 모신다.제사 지내는 순서는
참신, 강신, 진찬이 끝나면 초헌, 아헌, 종헌에 이어 합문, 계문을 한 뒤 수조를 한다.
사신하고 나서 납주(納主)하면 상을 물리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사례편람」에는 시제야말로 제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되어 있지만,
요즘에는 이 시제를 거의 지내지 않는다.4) 묘제(墓祭)
산소를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이다.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토지신(土地神)에게도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낸다.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에는
1년에 네 번, 정월 초하루, 한식, 단오, 추석에 묘제를 지낸다고 되어 있고,
「사례편람」에는 3월 상순(上旬)에 날을 택하여 지낸다고 적혀 있다.요즘은 1년 중 적당한 날을 하루 잡아서 산소를 찾아가
문중(門中)이 모두 함께 제사를 드리는 것으로 대신하고 있다.고례에 의하면 제주를 비롯한 여러 참사자들이 검은 갓과 흰 옷을 갖추고 일찍 산소에 찾아가 재배하고,
산소를 둘러보면서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풀이 있으면 벌초하고 산소 앞을 깨끗하게 쓴다.산소의 왼쪽에 자리를 마련하고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 깔고 제찬을 진설한다.
그리고 참신 강신 초헌 아헌 종헌 사신의 순으로 제사를 지내고 상을 물린다.5) 이제
계추(季秋)에 지내던 제사로서 계추란 음력 9월을 가리킨다.
전달 하순에 제사 지낼 날짜를 택한 뒤,
제삿날을 맞으면 사흘 전에 재계하고 하루 전에 신위 모실 자리를 마련하고 제찬을 준비한다.
제삿날 동이 틀 무렵 일찍 일어나 젯상을 진설한 뒤
제주 이하가 옷을 갈아 입고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정침으로 모셔 내와 제사를 지낸다.
제사는 강신, 참신, 초헌, 독축, 아헌, 종헌, 합문, 계문, 수조, 사신, 납주, 철상의 순으로 진행한다.
사당(祠堂)집을 지을 때에는 주인(主人)이 거처하는 방(正寢)의 동쪽에 사당을 짓고
이곳에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신다.
죽은 이는 어두운 세상으로 갔기 때문에 해지는 서쪽을 상석(上席)으로 하므로, 신주는 남향하여
서쪽으로부터 고조(高祖) 증조(曾祖) 조(祖) 부(父)의 순서로 감실(龕室) 안에 봉안한다.사당이 있는 집은 종자(宗子)가 대대로 살면서 지키고, 아무에게도 팔거나 주지 않는다.
주인은 새벽에 일어나 사당을 찾아 뵙고, 외출하거나 밖에서 돌아오면 이를 또한 사당에 고한다.또 정월 초하루나 동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사당에 참배해야 하고 ,
철마다 새로 나온 음식을 사당에 올리며, 집안에 무슨 일이 발생하면 이를 사당에 고한다.'★자료캐비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문상(問喪), 상문살 (0) 2007.09.17 토지제를 지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0) 2007.09.17 한식의 현대적 의미 (0) 2007.09.17 한국 토종견 (0) 2007.09.17 우리나라 훈장 종류 (0) 2007.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