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소유 않고 베풀면 온 세상이 내 것이야/송광사 회주 법흥스님◆
    ◑解憂所 2007. 12. 10. 07:14
    ◆소유 않고 베풀면 온 세상이 내 것이야/송광사 회주 법흥스님◆

    “출가한 중이 생일은 무슨….
    깨쳐서 부처되는 그날이 진짜 생일이지.”

    법흥스님은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시인 조지훈 선생이 은사다.
    충북 괴산이 고향인 스님은 불심 깊은 부모님을 따라
    어려서부터 자주 절을 찾았다.
    속명은 윤주흥.
    아이들이 이름 때문에 “중아, 중아” 하고 놀린 것도
    불교와의 숙연이었다고 믿는다.
    대학시절에는 학교 근처 서울 안암동 개운사에서
    하루도 빠지지 않고 108배를 했을 정도로 신심이 남달랐다.

    대학을 졸업한 뒤 대학원 입학 준비를 위해
    부모님이 다니던 문경 대승사를 찾았다.
    마침 산내 암자인 묘적암에서 일타스님이 홀로 정진하고 있었다.
    훗날 조계종단의 대표적인 율사(律士)로
    명성을 떨친 일타스님은 열다섯살에 출가해
    이미 단지(斷指)까지 했을 정도로 수행력이 특출했다.

    그는 일타스님의 권유에 따라
    하루에 3500배씩 사흘 동안 1만배를 올린 뒤 출가를 결심했다.
    일타스님이 정성스레 머리를 깎아줬다.
    묘적암에서 일타스님과 단둘이 석달을 지냈다.
    그는 일타스님의 소개장을 들고 대구 동화사로 효봉스님을 찾아갔다.
    효봉스님은 몇가지 질문을 한 다음

    “얼굴이 중 상이고 사주에도 불도가 들었는데
    왜 이제까지 속세에 있었느냐”며 흔쾌히 출가를 허락했다.
    스물아홉살 때였다.

    그는 통영 미래사에서 효봉스님을 모시고 3년을 살았다.
    스승은 수행에는 빈틈이 없고 생활은 검소한 분이었다.
    흘러내린 촛농을 긁어모아서 심지를 박아 다시 불을 밝힐 정도였다.
    걸레도 너무 짜면 빨리 해진다고 살살 짜라고 했다. 그
    는 법문 때마다 스승의 수행담을 빼놓지 않는다.

    “평범하고 미혹한 범부를 고쳐서 부처되기가 쉬운 일이 아니라면서
    죽을 각오로 참선하라는 말씀을 늘 하셨지요.”

    법흥스님도 늦깎이 출가를 만회하기 위해
    혹독한 수행을 마다하지 않았다.
    송광사 선원, 동화사 금당선원, 양산 통도사 보광전,
    합천 해인사 선원에 방부를 들이고 정진했다.
    ‘무자(無字)화두’를 들고
    도봉산 망월사, 오대산 상원사, 김천 직지사, 문경 김룡사 등을 옮겨다녔다.

    법흥스님은 비상한 기억력의 소유자로 유명하다.
    스님들의 이력, 송광사 역사, 경전은 물론
    수십년 전 돌아가신 노스님의 열반 날짜까지 줄줄이 외운다.
    아무리 오래된 일도 정확하게 기억해내
    ‘불교계 녹음기’ ‘컴퓨터’로 불린다.
    부처님 제자 가운데 부처님 말씀을 한 마디도 빠짐없이 기억했다는
    아난존자에 비유하기도 한다.
    이런 탁월한 기억력은 나이가 들어서도 변함이 없다.

    스님은 또 대단한 독서광이자 메모광이기도 하다.
    송광사 방우산방에는 ‘법화경’ 등 불교경전,
    큰스님들의 법어집, 법정스님의 저서와
    은사 조지훈 선생의 전집 등이 가득 꽂혀있다.
    스님은 책을 읽다가 좋은 구절은 그때그때 따로 적어둔다.
    그렇게 한번만 적으면 잊어버리지 않는다고 한다.
    심지어 50년대 신문 사설까지 줄줄 외는 모습에 감탄이 절로 나왔다.

    스님의 말씀은 항상 열정적이다.
    누구를 만나든 곧장 법문이다.
    말은 속사포처럼 빠르고 막힘이 없다.
    쉴 틈도 주지 않는다.
    불경은 물론 동서고금을 넘나들며 철학과 문학,
    유교의 경전, 한·중·일 선사들의 수행일화와 게송,
    법문들을 두루 인용한다.
    그러나 이런 지식과 기억력이
    참선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선과 논리는 적이지요.
    선은 관념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세상의 공부와 알음알이 따위가 들어설 틈이 애초에 없지요.
    일체 선악시비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아야 하는데
    자꾸 망상이 일어나는 겁니다.
    인내력이 달리고, 병치레도 끊이질 않았어요.”

    스님이 잠깐 깊은 숨을 내쉬었다.
    그러면서도 스님은 국문학도의 꿈을 포기하고
    구도의 길을 택한 것에 대해 후회하거나
    세속의 성공을 부러워한 적은 단 한번도 없다고 했다.

    스님은 “부처님도 한 생에 성불하지는 못했다”며
    “내생에 다시 사람 몸 받고 태어나 수행자가 되어
    금생에 못다한 공부를 하겠다는 원을 세웠다”고 말했다.

    그래서 택한 것이 기도와 주력(呪力)이다.
    스님은 새벽 3시면 일어나 어김없이 대능엄주를 독송하고
    대웅전과 각 전각을 돌면서 절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사형인 구산스님의 청으로 송광사 주지를 지낼 때부터
    30여년 동안 하루도 거른 적이 없다.
    스님은 적멸보궁이 있는 영축산 통도사,
    오대산 월정사,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를 비롯해
    전국의 기도처를 빼놓지 않고 찾아다녔다.
    해인사 장격각에서는 340일 동안 17만배를 올리기도 했다.
    그만큼 간절하다.

    법흥스님의 책 선물과 붓글씨 보시는
    불교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스님은 10여년 전 ‘선의 세계’를 펴냈다.
    송광사의 수행가풍과 연혁, 문화재 화보 등과 함께
    ‘선과 현대생활’ ‘선가의 생활’ ‘현대인과 선’ 등
    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스님은 방문객들에게 이 책을 빼놓지 않고 선물한다.
    마음공부에 도움이 될 만한 경구들을
    붓글씨로 써놓았다가 아낌없이 나누어준다.
    불서는 물론 일반 교양서들도 잔뜩 사놓았다가 함께 선물한다.

    “불교의 핵심이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아닙니까.
    몸은 이번 생에 쓰고 버릴 일시적인 가아(假我)이고,
    마음의 ‘본래면목’만이 실아(實我)라는 거지요.
    그런데 마음은 상(相)이 없기 때문에
    마음의 정처에 따라 이 자리가 정토가 되기도 하고
    고해가 되기도 합니다.

    마음을 닦는 것을 수심(修心),
    마음을 기르는 것을 양심(養心),
    마음을 쓰는 것을 용심(用心),
    마음을 잘 거두는 것을 섭심(攝心)이라 합니다.
    이런 마음공부를 통해 지혜가 완성됩니다.”

    요즘 세상은 정토와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가 시끄럽다.
    한달 가까이 이어진 아프가니스탄 피랍사태로 걱정이 태산이다.
    학력위조로 물의를 빚는 사람들이 꼬리를 물고 있다.
    요즘같이 경박하고 급변하는 세태에 복잡하게
    꼬이고 꼬인 실타래를 어떻게 풀어야 할까.

    “모두들 ‘내 것’에 집착하고,
    더 많이 가지려고 하기 때문에 세상이 불화로 가득찬 겁니다.
    소유하지 않고 모든 것을 베풀면 온 세상이 내 것인데 말이지요.
    이런 시대일수록 광명정대한 마음으로
    바로 보고,
    바로 생각하고,
    바로 말하고,
    바로 행동하고,
    바로 생활하고,
    바로 정진하라는 ‘팔정도’를 실천에 옮기는 것이 해답이지요.”

    스님은 “불자들이 계율을 지키듯이 모든 사람들이
    본분사와 법도를 엄격히 지키지 않으면
    깨진 그릇에 물을 담는 것처럼 만사가 허사”라며 “
    세상 그늘이 아무리 깊어도

    탐(욕심),
    진(성냄),
    치(어리석음)

    삼독심을 여의고
    청정한 마음,
    감사하는 마음,
    정진하는 마음(용맹심)을 가지면
    저절로 광명한 안목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 부귀, 재물, 권력을 좇아 헐떡거리는 일이
    실로 무상함을 알게 되지요.
    지금 이 순간 향내나는 꽃씨를 뿌렸는지,
    구린내 나는 나무를 심었는지 점검해보세요.”

    스님의 말씀은 송광사 승보전에 벽화로 그려져 있는
    ‘십우도(十牛圖)’의 설명으로 이어졌다.
    십우도는
    소를 찾는 심우(尋牛),
    소의 자취를 보는 견적(見跡),
    소를 발견하는 견우(見牛),
    소를 얻는 득우(得牛),
    소를 길들이는 목우(牧牛),
    소를 타고 돌아오는 기우귀가(騎牛歸家),
    소를 잊어버리는 망우존인(忘牛存人),
    자신마저 잊는 인우구망(人牛俱忘),
    맑고 깨끗한 본성으로 돌아가는 반본환원(返本還源),
    세상에 깨달음을 베푸는
    입전수수(入廛垂手)의 10단계 깨달음의 과정을 그린 선화(禪畵)다.

    “물 흐르고 꽃피는 풍경이 그려진 반본환원의 게송은
    ‘수자망망화자홍(水自茫茫花自紅)’입니다.
    물은 저절로 흐르고 꽃은 저절로 붉다는 뜻입니다.
    소동파는 ‘유록화홍(柳綠花紅)’,
    버들은 푸르고 꽃은 붉다고 했어요.
    진리를 깨치고 보면 아무런 번뇌 없는
    우주자연의 본래면목이 있는 그대로 드러나는 겁니다.
    성철스님이 말한 ‘산은 산, 물은 물’도 같은 경지지요.”

    그렇다면 방우산방 주인이 풀어놓은,
    십우도에도 걸리지 않는 그 소 한마리는 지금 어디쯤에 있을까.
    스님은 그저 껄껄껄 웃으면서 자리를 털고 일어섰다.
    하루도 거르지 않고 수십일째 이어지는 늦여름비,
    또다시 퍼붓는다.
    습습한 빗속에 버들은 더욱 푸르고 꽃은 그대로 붉다.

    법흥스님은
    “비가 온다고 원래 해가 없어진 것이 아닌 것처럼
    자성은 항상 마음 속에서 빛나고 있는 것” 이라며 “
    항상 일월(日月)같고 청풍명월 같은
    광명정대한 마음을 갖도록 힘써야 한다” 고 말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