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삼독심(三毒心)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일
    日念苾 2011. 11. 30. 07:18

     

    내 것이라고 집착하는 마음이
    갖가지 괴로움을 일으키는 근본이 된다.
    온갖 것에 대해 취하려는 생각을 하지 않으면
    훗날 마음이 편안하여 마침내 근심이 없어진다.

    화엄경(
    華嚴經)

    자기 마음에 드는 것에
    집착하지 않아야 할 것이니
    이것은 탐심을 끊어버리기 위함이다.

    자기 마음에 거슬리는 것에
    성내지 않아야 할 것이니
    이것은 진심을 없애기 위함이다.

    어리석은 말에
    집착하지 않아야 할 것이니
    이것은 치심을 끊기 위함이다.

    수행(
    修行)
    은 집착하지 않고
    동요하지 않는 지혜의 연마이다.

    잡아함경(雜阿含經)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독이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것이다.

    이는 모두 ‘나’ 에 대한 집착에서 오는 것이니,
    내 소유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것이
    탐욕을 끊는 공부이고,
    내 생각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
    성냄을 끊는 공부이며,
    실체적인 어떤 ‘나’ 가 있다는 생각을 비우는 것이
    어리석음을 끊는 공부가 되는 것이다.

    이같은 탐진치(貪瞋痴)의 뿌리는
    한마디로 아상(我相), 아집(我執)에 있다.
    ‘나’ 라는 상에 집착(執着)하기 때문에
    ‘내 것이다’ 라는 소유욕(所有慾)이 일어나고,
    나의 소유물(所有物)이 없으면 곧 나도 없다는 착각(錯覺)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처럼 내가 마음에 드는 것을
    내 것으로 만들려는 집착과 소유욕(所有慾)을 버리는 것이
    탐심(貪心)의 뿌리를 뽑는 첫 번째 수행(修行)이다.

    두 번째로 ‘내가 옳다’ 는 생각에 집착(執着)하므로
    내 생각과 어긋나는 생각을 가진 사람에게는
    화를 내게 된다.

    내가 옳다는 것은 너는 틀리다는 것인데,
    이것이야말로 모든 다툼과 성냄의 씨앗이다.
    사실 그 어떤 생각도 전적으로 옳거나 그를 수 없다.
    다만 서로 다를 뿐이지 옳고 그른 것이 아니다.

    마음에 거슬리는 것이 있더라도
    그것이 내 생각과 다르다고 화를 낼 것이 아니라,
    받아들여주는 것
    이것이 진심의 뿌리를 뽑는 두 번째 수행(執着)이다.

    그리고 셋째로 이 모든 뿌리에 있는 생각인
    ‘내가 있다’ 고 하는 착각(錯覺)이 바로 어리석음 곧 치심(侈心)이다.
    나는 실체적인 것이 아니라
    인연 따라 생겨난 비실체적이고 연기적인 존재임을 바로 알고
    나에게 집착(執着)하지 않는 것이
    치심(侈心)의 뿌리를 뽑는 세 번째 수행(執着)이다.

    수행(修行)이란 이렇듯
    ‘나’ 에 집착(執着)하지 않고 동요하지 않는 지혜(智慧)를 연마(練磨)하여
    탐진치 삼독심(三毒心)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일이다.

    '日念苾'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뚱이 좀 그만 두라   (0) 2011.12.06
    흔쾌히 보내주라!  (0) 2011.12.02
    화를 내는 것은  (0) 2011.11.29
    정충이란 무엇일까요?  (0) 2011.11.28
    잊지말라 여행자란 사실을 .....  (0) 2011.11.22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