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목탁습의 (천수경, 오분향례, 각종정근, 삼귀의, 반야심경, 칠정례 등등)............불교넷#佛敎 2011. 6. 24. 06:39
목 탁(木鐸) 습 의 "목탁은 세상의 시끄러운 소음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청아한 맑은 소리만을 냅니다" 1. 목탁(木鐸)의 의미와 기원
목탁(木鐸)은 불교 의식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법구(法具)로, 불전사물 (佛前四物)【범종(梵鐘),법고(法鼓),운판(雲版),목어(木魚)중 하나인 목어(木魚)가 변하여진 것이다 둥근 형태로 벌려진 앞부분의 입과 그 양옆의 눈, 그리고 손잡이 부분의 꼬리지느러미는 목어에서 비롯된 목탁의 외적 형태를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목탁은 둥근 나무의 안을 비게 만들어, 목탁 채로 그것을 두드릴 때 공명(共鳴)의 울림을 형성케 하고자 제작된 것이다. 그 만드는 재료로는 대추나무 및 박달나무, 은행나무, 등을 사용함이 일반적이나, 살구나무로 만든 목탁에 대추나무의 목탁 채를 사용하면 그 소리가 도솔천에까지 울려 퍼진다는 통념에 따라 살구나무의 목탁을 선호하는 경향이 생겨나게 되었다. 목탁의 울림은 하나의 신호이다. 보통 길게 한번을 큰 소리에서 작은 소리로 내려치면 공양 및 차담(茶啖, 차와 간식) 준비가 다 되었으니 모이라는 뜻이요,두 번을 내려침으로 해서 대중운력 (大衆運力)을 하자고 함을 알리게 된다. 또한 세 번을 내려침은 강원의 간경 (看經, 경전 공부) 및 선원(禪院)의 입선(入禪, 선수행)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등, 목탁은 승원(僧院) 공동생활의 규범을 지시하는 신호로 사용 되었던 것이다. 또한 아침 예불의 도량석이거나 예경 및 독경에 사용되기도 하는 목탁의 울림은 승원 내에 거주하는 전체 승려들에게 하나의 경책(警責)의 울림이 되기도 한다. 탐욕과 분노의 마음, 어리석음 속에 잠들던 우리의 마음을 일으켜 영원무구 (永遠無垢)의 세계에로 우리를 인도해 주는 목탁의 울림은 전체 수행자들의 마음을 책려하는 도구인 동시에 내면적 상승을 불러일으키는 신호음이 되기도 한다. 언제나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 잠을 자면서도 눈뜨고 있는 물고기의 성질을 본떠, 수행자라면 의레 모든 순간에 마음의 각성(覺醒)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목탁의 울림은 우리에게 가르쳐 주고 있는 것이다. 2. 목탁의 사용 용도 목탁의 종류로는 큰 목탁과 작은 목탁이 있는데, 큰 목탁은 다시 매달아 놓고 치는 목탁과 포단에 놓아두고 치는 목탁으로 나눈다. 매달아 놓고 치는 목탁은 주로 도량석이나 공양 때를 알리는 등 대중을 모으고자 할 때 사용되며, 포단에 놓고 사용하는 목탁은 독경, 염불, 예불 시에 사용된다. 목탁의 사용은 첫째가 목탁을 신호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고, 둘째는 독경, 염불 등의 의식에 소리를 맞추는데 쓰이며, 셋째는 혼침에 들었을 때에 정신을 차리라고 깨우치게 하는 도구로 쓰고, 넷째는 아침을 깨우는 도량석에 사용되며, 다섯째는 일반 법회의식에 사용된다. 목탁을 길게 한번은 공양을 알리는 것이고, 두번을 길게 치면 공동의 작업을 알리는 울력이며, 세번을 길게 치면 학습이나 입선을 알리는 신호이다. 3. 목탁 잡는 법 목탁은 왼손으로 잡되 자기 몸의 바깥쪽에 위치한 손잡이를 잡는다. 목탁채는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살짝 오른손으로 잡는다. 목탁을 잡은 왼손은 힘을 주어서 목탁이 요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야 하고, 목탁채를 잡은 오른손은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가볍게 잡아야 한다. 목탁을 잡을때에는 두 손으로 목탁과 목탁채를 동시에 잡아야한다. 목탁을 놓을 때에도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한다. 선 자세에서 목탁을 잡았을 때에는 차려자세, 앉았을 때에는 끓어앉은 자세에서 목탁을 소지하되, 목탁을 잡은 왼손은 손목이 앞가슴 명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목탁을 수직으로 받들어야 하며 비스듬하게 기운자세 또는 무릎위에 얹여 놓은 자세를해서는 안된다. 목탁채를 잡은 오른손은 왼손과 대칭을 이루어서 같은 높이로 유지하며 목탁채의 끝이 위를 향하도록 한다. 또 두 손의 간격을 좁혀서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의식중에 잠깐 또는 한동안 목탁을 사용하지 않고 들고만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럴때에는 바른 자세보다는 차수자세로 손을 쉬도록 할수도 있다. 목탁과 목탁채를 잡은 채로 오른손이 아래로 가고 왼손이 위로 가거 포개지도록 하며, 목탁과 목탁채가 교차 되도록 하여 약간 아래로 내려뜨린다. 또 앉아 있을 경우에는 무릎위에 올려 놓으면 된다. 4. 목탁 치는 방법 목탁을 잡을 때는 목탁이 있는 위치로 가서 양손으로 잡아 한 번 받쳐 든 후 목탁 칠 자리로 간다. 목탁을 치는 방법은 그 소리내는 방법에 따라 굴림목탁, 내림목탁, 올림목탁, 일자목탁(송죽목탁), 이자목탁, 붙임목탁, 정근목탁, 맺음목탁, 일박목탁, 끝맺음, 완전맺음으로 나눌 수 있다. ( 목탁의 종류 ) * 일박목탁 : * 굴림목탁 : * 내림목탁 : * 붙임목탁 : * 정근목탁 : * 맺음목탁 : * 끝맺음 : * 완전맺음 : * 올림목탁 : ( 행동 요령 ) * 반배 : * 1배 : * 3배 : * 접종례 : * 고두례 : * 앉는다 : * 일어선다 : * 합장 : 가. 굴림목탁 * 목탁을 약하게 굴리는 것을 말한다. * 모든 동작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로 사용된다. (1) 방 식 : 똑 [ 기호 : ⊙ = ] (2) 방 법 : 목탁채로 한 번 크게 때린 후 목탁에 그대로 붙여둔다. (3) 쓰임예 (가) 법회 1) 반배 시작 전 가) (반배) 나) ⊙ ○--------* V (반배) (나) 독경 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 나) ⊙ ○○○○○○○○ ○○○○○ ○○○○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 나. 내림목탁 * 목탁을 점차 빠르고 작게 치는 것을 말한다. * 인사할 때와 대중을 모으려고 할 때 많이 사용된다. (1) 방식 : 똑 또 또 또 또 또또또 [ 기호 : ○ ---- * = ] (2) 방법 : 목탁소리를 높은 소리에서 낮은 소리로 점점 작고 빨라지게 친다. 마치 탁구공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질 때의 소리와 같다. (3) 쓰임예 (가) 인사시 가) (반배를 알리는 신호) ( 반 배 ) (반배 끝을 알리는 신호) 나) ⊙ ○ ----- * V (반배를 알리는 신호) ( 반 배 ) (반배 끝을 알리는 신호) (나) 학습이나 입선시 가) (내림목탁을 세 번 친다.) 나) ⊙ ○-----* V ⊙ ○-----* V ⊙ ○-----* V (내림목탁을 세 번 친다.) 다. 올림목탁 * 목탁을 점차적으로 크게 치는 것을 말한다. * 도량석을 돌 경우에 사용된다. 도량석은 목탁석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기침(起寢)을 알리는 제1성이다. 부전스님이나 법당일을 담당하신 분이 먼저 일어나 불전에 향과 등불을 켜고 3배한 뒤에 목탁을 들고 법당 앞으로 나와서 얕은 소리로부터 높은 소리로 세 번 거듭 올려친 뒤에 천수경이나 4대주를 외우는 방법으로 천천히 목탁을 치면서 도량을 순방한다. (1) 방식 : 또또또 또 또 또 또 똑 [ 기호 : * --- ○ = ] (2) 방법 : 목탁소리를 낮은 소리에서 높은 소리로 점점 크고 천천히 친다. (3) 쓰임예 (가) 도량석 : (도량석을 돌 경우 대웅전 앞에서) ( 올 림 내 림 ) 3번 가)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나) *--○ ○--* *--○ ○--* *--○ ○--* (올 림 내 림) (올 림 내 림) (올 림 내 림) ⊙○ ○ ○ ○ ○ ○ ○ ○ ○ ○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라. 일자목탁 (송주목탁) * 목탁을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치는 것을 말한다. * 경을 독송할 때 많이 사용된다. (1) 방식 : 똑 똑 똑 똑 똑 똑 똑 ····[ 기호 : ○ = ] (2) 방법 : 일정한 간격으로 소리를 내는데, 낙수물이 떨어지듯 하여야 한다. (혹 예외적으로 집전을 하는 사람의 호흡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와 간격이 변형되기도 하지만, 대중들과 함께 독송할 경우에는 목탁소리를 대중들에게 맞추어 빠르거나 느리지 않게 주의하여야 한다.) (3) 쓰임예 (가) 독경 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 나) ⊙ ○○○○○○○○ ○○○○○ ○○○○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 마. 이자목탁 * 도량석을 돌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1) 방식 : 똑 똑 똑 똑 똑 ······ (2) 방법 : 일정한 간격으로 소리를 내는데, 일자목탁에 비해 간격을 넓게 친다. (3) 쓰임예 (가) 도량석 가)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나) ⊙○ ○ ○ ○ ○ ○ ○ ○ ○ ○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바. 맺음목탁 * 독송이나 의식 집전중 한 단락이 마감 되기전 신호로 따닥 하듯이 연이어 치는것을 말한다. * 경의 끝·정근의 끝·예불문의 끝 등 끝을 알리는 부분은 평목탁을 짧게 두 번 연속으로 친다. (‘끊어준다’라고 표현함) (1) 방식[ 똑똑 기호 : V = ] (2) 방법 : 경의 끝·정근의 끝·예불문의 끝 등 끝을 알리는 부분은 평목탁을 짧게 두 번 연속으로 친다. (‘끊어준다’라고 표현함) (3) 쓰임예 (가) 모지 사바하, 고아일심귀명정례, 자타일시성불도 (나) V V ○---* V V ○-----* V V ○---* 모지 사바하, 고아일심귀명정례, 자타일시성불도 사. 정근목탁 * 정근시 치는 목탁. (1) 방식[ 똑 또, 똑 또 기호 : ] (2) 쓰임예 (숨을 고르기 위해 예비로 두 세 번 친다) 가)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나) ◎○ ◎○◎○ ◎○◎○ ◎○◎○ ◎○◎○ ◎○ V V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아. 붙임목탁 * 정근시 불보살명호를 염송하다가 다음으로 넘어갈때 치는 목탁. * 맺음목탁보다는 느리며 일박목탁 간격보다는 빠르게 친다. (1) 방식[ 똑똑, 똑똑 기호 : ] (2) 쓰임예 (숨을 고르기 위해 예비로 두 세 번 친다) 가)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나) ◎○ ◎○◎○ ◎○◎○ ◎○◎○ ◎○◎○ ◎○ V V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자. 끝맺음 * 의식집전시 진언이나 의식문이 한단락 끝났을때 친다. (1) 방식[ 똑 기호 : ] (2) 쓰임예 가) 거룩 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 V(반배) 나) 거룩 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차. 완전맺음 * 독송이나 의식 집전이 무두 끝난후 마지막에 친다 (1) 방식[ 똑 똑 기호 : ] (2) 쓰임예 * 천수경 가) ○○○○○○○ ○○○○ ○○○ ○○○○○○○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 ○○○○ ○○○ ○○○○○○○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 천 수 경 】 ( 보례진언 ) : 사시예불 보례진언 아금일신중 즉현무진신 변재삼보전 일일무수례 옴 바아라 밀 옴 바아라 밀 옴 바아라 밀 정구업진언 ○○ ○○ ○○○○ ○○○ ○○○ ○○ ○○ ○○○○ ○○○ ○○○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 ○○ ○○○○ ○○○ ○○⊙ ⊙ ○○ ○○○○○○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 ======================================================== 중간생략 ○○○○○○○ ○○○○ ○○○ ○○○○○○○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 ○○○○ ○○○ ○○○○○○○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보례진언 안할 때 ) 정구업진언 ○○ ○○ ○○○○ ○○○ ○○○ ○○ ○○ ○○○○ ○○○ ○○○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 ○○ ○○○○ ○○○ ○○⊙ ⊙ ○○ ○○○○○○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 ======================================================== 중간생략 ○○○○○○○ ○○○○ ○○○ ○○○○○○○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 ○○○○ ○○○ ○○○○○○○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나무상주시방불 나무상주 시방법 나무상주시방승 천 수 경 천수경을 실행전에 위에 심진스님의 노래와 목탁소리를 끄시고 실행하세요. 오분향게 = 五分香偈 (집전자)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 ⊙ ○------* V(반배) 광명운대 주변법계 공양시방 무량불법승 ⊙ 헌향진언 ⊙ ⊙ ⊙ ○------* V(반배) 옴바아라 도비야 훔 옴바아라 도비야 훔 옴바아라 도비야 훔 칠정례 (다함께) ⊙ ○------* V(일배)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 ○-----* V(일배)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 ⊙ ○------* V(일배)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지심귀명례 대지문수 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 ⊙ ○---* V(일배)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지장보살 마하살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십대제자십육성 오백성 ⊙ ⊙ ○--------* V(일배) 독수성내지 천이백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 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 ⊙ ○-------* V(일배)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 선지식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 (유원반배) 유원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제중생 자타일시성불도【 오 분 향 례 】 오 분 향 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 행심반야 ○○○○○ ○○○○○○ ○○○○○ ○○○ ○○○○ 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사리자 색불이공 ○○○○ ○○○○ ○○○○ ○○○○ ○○○○ ○○○ ○○○○○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 시제법공상 ○○○○ ○○○○ ○○○○ ○○ ○○○○ ○○○○○ ○○○○○○○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 ○○○ ○○ ○○○○ ○○○ ○○○○○ ○○ ○○○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 ○○○○○ ○○○○○ ○○○○○ ○○○○ ○○○○○○○○ 역무노사진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 이무소득고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 ○○○○ ○○○○ ○○○○○○ ○○○○ ○○○○ ○○○○○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삼세제불 의반야바라 ○○○ ○○○○○○○○○○ ○○ ○○○○○○ ○○○○ ○○○○ 밀다고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고지 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 ○○○○○ ○○○○○ ○○○○ ○○ ○○○○○○○ ○○○○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고설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아침, 저녁 예불하는 법 - 월공스님 강의 【 마 하 반 야 바 라 밀 다 심 경 】 반 야 심 경 거 룩 한 부-처 님 께 귀 의 합 니 다 거 룩 한 가-르 침 에 귀 의 합 니 다 거 룩 한 스-님 들 께 귀 의 합 니 다독경하는법 - 월공스님 강의 【 삼 귀 의 】 삼 귀 의 【 삼 귀 의 게 송 】 귀 의 불 양 족 존 귀 의 법 이 욕 존 귀 의 승 중 중 존삼귀의 게송 - 한동희스님 덕 높으 신 스--승님 사 자좌 에 오 르사 사 자후 를 합--소서 감 로법 을 주 소서 옛 인연 을 이 어서 새 인연 을 맺--도록 대 자비 를 베--푸사 법 을설 하옵---서소【 청 법 가 】 청 법 가 【 청 법 가 게 송 】 차경심심의 대중심갈앙 유원대법사 광위 중생설 (3번)請法偈 (청법게 ) - 한동희 스님 【 사 홍 서 원 】 중 생 을 다 건 지오 리 다 번 뇌 를 다 끊 으오 리 다 법 문 을 다 배 우오 리 다 불 도 를 다 이 루오 리 다사 홍 서 원 【 사 홍 서 원 게 송 】 중 생 무 변 서 원 도 번 뇌 무 진 서 원 단 법 문 무 량 서 원 학 불 도 무 상 서 원 승【 산 회 가 】 몸 은비--록 이자리에서 헤어--지지 만 마 음--은 언 제라도 떠나--지마 세 거 룩하신 부처님 을 항상모시 --- 고 오 늘배--운 높은법문 깊이--새겨 서 다음날 - 반가웁게 한맘한뜻으 로 부처님 의 성전 - 에 다시만나 - 세산 회 가 둥 굴 고또 한 밝 은빛 은 우 주를 싸 고 고 르 고다 시 넓 은덕 은 만 물을 길 러 억 만 겁도 록 변 함없 는 부 처님 전 에 한 마 음함 께 기 울여 서 찬 양합 니 다【 찬 불 가 】 【 보 현 행 원 】 내 이 제 두 손모아 청 하 옵 나 -- 니 시 방 세 게 부 처--님 우 주 대 광 명 두 눈어 둔 이 내 몸 굽 어 살 피 사 위 - 없 는 대 법문을 널 리 여 소 서 허 공계와 중 생-계 가 다 할 지 라 도 오 늘 세 운 이 서-원 은 끊 없 아 오 리보 현 행 원 (숨을 고르기 위해 예비로 두 세 번 친다)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정근 시작을 알리는 목탁 1회)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정근 끝을 알리는 동작 3회) =========================================================== 멸업장진언 ○○○○○ ○○○ ○○○○○ ○○○ ○○○○○ ○○○ 옴아로륵계 사바하 옴아로륵계 사바하 옴아로륵계 사바하 ○○○○○ ○○○○○ ○○○○○ ○○○○○ 구족신통력 광수지방편 시방제국토 무찰불현신 고아일심귀명정례 원멸 사생육도 법계유정 다겁생래 죄업장 아금참회 계수례 원제죄장 실소제 세세상행 보살도 (원멸부터 3회) (유원반배) 원이차공덕 보급어일체 아등여중생 당생극락국 동견무량수 개공 성 불 도【 관 세 음 보 살 정 근 】 관세음보살 정근 - 영인스님 (숨을 고르기 위해 예비로 두 세 번 친다) 나무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 1) 나무 영산불멸 학수쌍존 시아본사 : 2)번 중 택 석가모니불 (정근 시작을 알리는 목탁 1회)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 (정근 끝을 알리는 목탁 3회) =========================================================== 천상천하무여불 시방세계역무비 세간소유아진견 일체무유여 불 자【 석 가 모 니 불 정 근 】 석가모니불 정근 - 영인스님 (숨을 고르기 위해 예비로 두 세 번 친다) 나무 남방화주 대원본존 지장보살 (정근 시작을 알리는 목탁 1회) 지장보살 지장보살 지장보살 지장보살 ----- 지장보살 지장보살 지장보살 (정근 끝을 알리는 목탁 3회) ====================================================== 멸정업진언 ○ ○○○ ○○○○ ○○○ ○ ○○○ ○○○○ ○○○ 옴 - 바라 마니다니 사바하 옴 - 바라 마니다니 사바하 ○ ○○○ ○○○○ ○○○ ○○○○○○○ 옴 - 바라 마니다니 사바하 지장대성위신력 ○○○○○○○ ○○○○○○○ ○○○○○○○ 항하사겁설난진 견문첨례일념간 이익인천무량사 고아일심귀명정례 원멸 사생육도 법계유정 다겁생래 죄업장 아금참회 계수례 원제죄장 실소제 세세상행 보살도 (원멸부터 3회) (유원반배) 원이차공덕 보급어일체 아등여중생 당생극락국 동견무량수 개공 성 불 도【 지 장 보 살 정 근 】 지 장 정 근 (숨을 고르기 위해 예비로 두 세 번 친다) 나무동방 만월세계 십이상원 약사여래불 (정근 시작을 알리는 목탁 1회)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불 -----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불 (정근 끝을 알리는 목탁 3회) =========================================================== 십이대원 접군기 일편비심 무공결 ○○○○ ○○○ ○○○○ ○○○ 범부전도 병근심 불우약사 죄난멸 고아일심귀명정례【 약 사 여 래 불 정 근 】 약사 여래 정근 - 영인스님 (숨을 고르기 위해 예비로 두 세 번 친다) 나무 서방대교주 무량수여래불 나무아미타불 (정근 시작을 알리는 목탁 1회)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정근 끝을 알리는 목탁 3회) ================================================================= 1) 원이차공덕 보급어일체 아등여중생 당생극락국 동견무량수 개공 성 불 도 2) 본심미묘진언 다냐타 옴 아리다라 사바하(3번) 계수서방안락찰 접인중생대도사 아금발원원왕생 유원자비애섭수 고아일심귀명정례 1) 2) 택【 나 무 아 미 타 불 정 근 】 아미타불 정근 - 영인스님 건강한불교, 신나는불교, 참회하고, 반성하고, 사랑하는불교
꼭 ! 이루겠습니다.
몸과 마음이 좋아지는 카페 불교넷
출처 : 불교넷글쓴이 : 처사님 원글보기메모 : 가져갑니다_()_'#佛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피티계곡에서 발견된 등신불 (0) 2011.09.05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8가지 방법-법상스님- (0) 2011.08.31 연지대사 일곱가지 불살생 (蓮池大師 七種不殺生) (0) 2011.06.15 무엇을 세 가지 가벼운 갈래라 하는가? (0) 2011.05.17 진언(眞言: Mandra) (0) 2011.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