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태산은 한 줌의 흙을 사양하지 않는다.
    ♤좋은글 2011. 4. 14. 05:34

     

     태산은 한 줌의 흙을 사양하지 않는다.

     

    능력이 있다면 출신과 성분을 가리지 말고 중요한 직책을 맡기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조직의 인사를 보면 결코 능력만 가지고 인사를 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출신과 지역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다 보면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해 지고 결국 조직의 경쟁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춘추전국시대 진나라가 마지막 통일의 주역이 된 것은 우연이 아니었습니다.

    목공(穆公), 효공(孝公), 혜제(惠帝), 소제(昭帝), 진시황제(秦始皇帝)로 이어지는 5명의 군왕들은 모두가 진나라를 천하통일의 주역으로 만든 최고의 지도자들이었습니다.

    이들은 출신과 성분을 가리지 않고 오로지 뛰어난 인재라고 생각하면 과감하게 등용하여 진나라 발전의 초석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인사정책이 순탄하게 진행 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외부에서 온 객경(客卿)들은 결국 충성도에 있어서 문제가 될 것이며, 위기 상황에서 적에게 이로운 행동을 취할 것이라는 국내 귀족들의 논의에 군왕들은 마음이 흔들렸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진시왕의 오른팔 이사(李斯)는 진나라 황제에게 축객(逐客)에 대해 반대하는 상소문을 올립니다.

    그 유명한 상소문이 바로 고문진보에 실려 있는 ‘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라는 명문장입니다.

    이사는 진시황제에게 축객의 부당성을 알리며 열린 인사정책과 개방을 통한 강대국의 기반을 마련하여 한다며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합니다.

    ‘태산은 한 줌의 흙이라도 사양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태산같이 큰 산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황하와 바다는 조그만 물줄기라도 가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깊은 물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군왕도 백성들을 차별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야 군왕의 덕을 천하에 밝힐 수 있는 것입니다.’

     

    泰 山 不 辭 土 壤 故 能 成 其 大

    태 산 불 사 토 양 고 능 성 기 대

     

    태산은 한 줌의 흙이라도 사양하지 않는다. 그래서 큰 산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글로벌 마인드를 지향하면서 출신과 배경을 따지고, 적과 동지를 구분한다면 그 꿈은 영원한 꿈일 수밖에 없습니다.

    정당이나 기업들이 출신지를 따지고, 성분을 따진다면 그 조직의 미래는 자명합니다.

    지나간 역사를 통해 보았을 때, 어느 나라든, 어떤 조직이든 다양성과 개방성이 결국 그 조직의 경쟁력이며 승부처인 것입니다. 닫고 사는 자가 승리할 수는 없습니다.

    여는 자만이 결국 생존에 성공할 것입니다.

     

    "태산에 올라가면 천하가 작게 보입니다".

     

    泰(클 태), 山(뫼 산), 不(아니 불), 辭(사양할 사), 土(흙 토), 壤(사양할 양)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