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 괴산
낙영산 공림사(落影山 公林寺)대웅전 솟을매화꽃살문
*충북 괴산
낙영산 공림사(落影山 公林寺)대웅전 솟을매화꽃살문
*강원 춘천
오봉산 청평사(五峰山 淸平寺) 극락보전 빗꽃살문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曹溪山 松廣寺)대웅보전 솟을민꽃살문
솟을민꽃살문에는
살을 잎사귀로 표현한 것도 있다
한층 섬세하고 화려한 느낌을 주는 의장이다
신흥사 극락보전,무량사 극락전에서 그러한 꽃살문을 볼 수 있다
살이 잎사귀이기 때문에 모두 녹색의 단청을 하였다
잎사귀는 여섯 잎으로 세로살을 축으로 하여 교차된 형태이다
여섯 방향으로 뻗은 잎사귀들은 정형적인 것 같으면서도 자세히 보면 그렇지 않다
잎사귀 형태가 좌우 대칭인 것과 비대칭인 것 두 가지 형태이기 때문이다
좌우 대칭인 잎사귀 여섯 잎을 두고 그 상하 좌우에 비대칭인 잎사귀를 돌려 원을 만든 것이다
여섯 잎사귀가 연속되는 모양이지만,그 잎사귀를 원이 감싸고 있는 형태로의 변화를 준 것이다
잎사귀 표현에 미세한 차이를 두고 또 그것을 눈치채지 못하도록 걸구함으로써,
동일함 속에서 구별됨을 찾고 일률적인 속에서 변화를 주었다
그것을 고안해낸 장인의 교묘한 결구 아이디어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강원 정선
태백산 정암사(太白山 淨岩寺)적멸보궁 격자살문
*경기 양평
용문산 용문사(龍門山 龍門寺)삼성각 띠살문
*경기 파주
고령산보광사(高靈山普光寺)대웅보전 띠살문
*경기 파주
고령산보광사(高靈山普光寺)만세루 숫대살문
숫대살문은
주로 절집의 요사채나 승방에 사용되고 있으며,그 변형인 범살문도 함께 찾아 볼 수 있다
전통건축에 자주 사용된 숫대살문은 띠살문과 함께 오랫동안 우리 생활과 친숙하여
정서적으로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문이다
격자살이나 빗살문 만큼 견고하지는 않지만 사각형의 조합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변화의 모습에서
미묘한 운치를 느낄 수 있게 하는 점에서 뛰어나다
숫대살문의 사각형은 직사각형이다
그것은 상하좌우로 연결되면서 불규칙한 공간 분할을 이루고,
간간이 등장하는 정사각형만이 변화를 자극한다
공간이 분할되면서 생긴 부분들은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이지만 모두 사각형이기 때문에 단순하다
살의 일정한 굵기에 의한 사각형의 나열이란 점에서 기본적으로 단순성을 지향하지만,
무질서한 듯이 배열된 사각형 공간 때문에 복잡성이 더불어 담겨진다
그러나 그 같은 배열에 일정한 규칙이 있음을 어렵지 않게 읽어 낼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전체적인 통합을 이루어 낼 수 있다
한마디로 아주 단순한 도형이면서도 약간의 변화를 도입함으로써 수준 높은 미적 쾌감을 추구한 것이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경기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雲吉山 水鐘寺)대웅보전 솟을빗꽃살문
*인천광역시 강화
마니산 정수사(摩尼山 淨水寺)대웅보전 통판투조꽃살문
*인천광역시 강화
마니산 정수사(摩尼山 淨水寺)대웅보전 통판투조꽃살문
*인천광역시 강화
마니산 정수사(摩尼山 淨水寺)대웅보전 통판투조꽃살문
정수사 대웅전 어간의 문 네짝에는 꽃병에 꽂힌 꽃들이 문 전체를 화려하게 뒤덮고 있는데
한 줄기의 꽃에서 다양한 색깔의 꽃이 피어나는가 하면,
한 꽃병에 연꽃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꽃들이 문 가득 묘사되어 익살스러움을 더한다
꽃병과 꽃의 묘사도 마치 어린아이가 그린 것 같은 분위기를 내고 있다
성혈사 나한전 문살은 이보다 훨씬 세련되고 다듬어진 면이 있지만,
기본 바탕은 정수사의 것과 다르지 않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경남 양산
영취산통도사(靈鷲山通度寺)적멸보궁 솟을꽃살문
*경남 양산
영취산통도사(靈鷲山通度寺)적멸보궁 궁창
*부산광역시
금정산 범어사(金井山 梵魚寺)나한전 띠살과 빗살문
*경남 합천
가야산 해인사(伽倻山 海印寺)명부전 격자살문
*경남 합천
가야산 해인사(伽倻山 海印寺)수다라장 날살문
날살문은
문틀 안에 세로로 살을 지른 형태이다
여러 종류의 문살 가운데 가장 단순하고 원초적인 모습으로 문이 기능에 충실한 구조이다
또한 이러한 날살 구조는 대부분 창문에 적용된다
날살을 가진 절집 건물들을 보면 대체로 오래된 것이 많다
봉정사 극락전,부석사 조사당과 무량수전,해인사 대장전,은혜사 거조암,영산전 등
시대가 올라간 건축물에서 한결같이 날살창의 예를 볼 수 있다
특히 장중하고 단순한 주심포 맞배집이라면 날살창이 더할 나위 없이 잘 어울린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경북 예천
소백산 용문사(小白山 龍門寺)원통전 빗살문
*경북 문경
사불산 대승사(四佛山 大乘寺)대웅보전 빗꽃살문
*경북 문경
운달산 김용사(雲達山 金龍寺)대웅전 띠살문
*경북 포항
운제산 오어사(雲梯山 吾漁寺)대웅전 빗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통판투조꽃살문
통판투조꽃살문은
널판에 꽃나무나 기타 무늬를 통째로 새겨 문틀에 끼운 것이다
그렇게 많은 수는 아니지만
성혈사 나한전을 비롯하여 정수사 대웅보전,선암사 원통전 어간,용문사 윤장대 등에서
통판투조꽃살문을 볼 수 있다
성혈사 나한전은 정면 삼 칸인데 좌우 두 협칸에는 솟을빗꽃살문을 두었고
어간에는 통판을 투조한 꽃살문이 있다
투조된 무늬는 연꽃,자라,새,물고기 등으로
연못을 배경으로 거기에 사는 다양한 생물들을 새긴 것이다
꽃살문을 만드는 일은 매우 손이 많이 가고 어려운 작업이다
그런데 꽃살문을 만드는 소목장들은
여러 종류의 꽃살문 가운데 이 통판투조꽃살문 제작이 오히려 쉽다고 한다
바탕그림을 통판에 대고 새기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다른 복잡한 꽃살문을 조합하여 만드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다는 말이다
대체로 우리 절의 통판투조꽃살문 무늬는 정교하고 세련되기보다는 대범하면서도 수더분하고
어리숙하기까지 하여 마치 조선후기의 민화를 보는 듯하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통판투조꽃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통판투조꽃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통판투조꽃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통판투조꽃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통판투조꽃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솟을민꽃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성혈사(小白山 聖穴寺)나한전 솟을민꽃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부석사(小白山 浮石寺)무량수전 격자살문
격자살문은
격자살문과 띠살문은 사찰 문 중 가장 일반적인 예들이다
격사살문은 날살과 띠살을 같은 간격의 직사각형으로 짠 것인데,
일명 井字살문 또는 우물살문이라고 한다
격자살문은
부석사 무량수전,장곡사 상대웅전,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등 고려시대의 사찰건축에서도 이용되었다
격자살문은 정확한 간격으로 얽혀 있어서 튼튼하고 견고하다
따라서 그것이 주는 이미지도 다른 꽃살문에 비해 단정하고 강고하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경북 영주
소백산 부석사(小白山 浮石寺)조사당 날살문
*경북 영주
소백산 부석사(小白山 浮石寺)조사당 띠살문
띠살문은
날살문에 변화를 준 형태이다
문틀에 상하로 살을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좌우로는 상중하 세 단으로 나누어
가로살의 띠를 두른 것으로,세로살만 두었을 때의 밋밋함을 가로살의 띠를 두어 보완하였다
띠살문은 문살 가운데 장식을 절제한 담박한 모습이다
띠살문은 우리 한국인에게 매우 친숙한 문이다
면의 분할에서 오는 쾌적한 시각적 비례감은 띠살문이 갖는 최고의 예술성이다
직사각형의 문틀에 길게 내리지른 세로살의 불편함과 피곤함에 세 단의 띠를 둘러
편안함과 쾌적함을 얻은 것이다
방안에 앉아 빛에 비친 띠살문의 세 단의 띠를 보면서 우리 선조들은
天地人의 질서와 조화를 보았는지도 모른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경북 경주
토함산 불국사(吐含山 佛國寺)비로전 솟을민꽃살문
*경북 경주
함월산 기림사(含月山 祇林寺)대적광전 솟을금강저꽃살문
*경북 경주
함월산 기림사(含月山 祇林寺)대적광전 솟을매화꽃살문
*경북 경주
함월산 기림사(含月山 祇林寺)대적광전 솟을매화꽃살문
*경북 경주
함월산 기림사(含月山 祇林寺)대적광전 솟을금강저꽃살문
*경북 영덕
천축산 불영사(天竺山佛影寺)응진전 빗살문
빗살문은
날살과 띠살을 서로 어긋나게 겹쳐서 마름모꼴이 되도록 짠 문으로,일명 交살문이라고도 불린다
빗살문은 격자살문을 모로 뉘어 배치한 것으로서,단조롭고 규칙적인 격자살문에 변화를 준 장점이 있다
빗살문은 수덕사 대웅전을 비롯하여 고려시대 건축물에 나타나며
화엄사 원통전과 대웅전 등 대부분의 조선시대 사찰에서 빗살문을 찾아 볼 수 있다
*경북 김천
황악산 직지사(黃嶽山 直旨寺)비로전 솟을꽃살문
*경북 김천
황악산 직지사(黃嶽山 直旨寺)비로전 솟을꽃살문
*경북 상주
노악산 남장사(露岳山 南長寺)극락보전 솟을살문(격자빗살문)
솟을살문은
여러 살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연히 복잡한 형태를 보이는데,
거기에 꽃을 새겨 놓은 경우에는 매우 화려한 모습의 꽃살문이 된다
솟을 살문에는 꾸밈이나 덧붙임이 없이 민으로 처리한 경우도 많다
그 문살의 단청은 항상 에머랄드 그린의 녹색이다
회색기가 도는 녹색에 햇살이 비출 때의 미묘함이란 실로 표현하기 어렵다
남장사 극락보전 어간의 솟을살문에서는 예사롭지 않은 장인의 솜씨를 본다
문틀 안에 동일한 격자와 교차된 빗살만이 연속적으로 전개되어 短線의 집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하나하나의 블록에 빗장을 친 것이기에 더욱 견고한 느낌을 준다
문은 원래 벽이고,그 일부에 낸 구멍일 뿐이다
시각적으로는 모순이기 때문에 문의 존재를 확실하게 해놓지 않으면 혼란을 가중시키게 된다
그래서 문의 테두리를 확실하게 하고 그 안의 장식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존재를 확실히 드러낸다는 점에서 솟을살문은 유용한 설계이다
한편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 건물은 최고의 신성한 장소로서 외부와 잘 차단되어야 한다
그러나 완벽하게 차단된 벽에 뚫어진 문의 존재는 시각적으로 불안정하게 느껴진다
따라서 솟을살의 견고하고 확실한 이미지는 그것을 보완하는데 적절한 디자인이 된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경북 상주
노악산 남장사(露岳山 南長寺)극락보전 솟을민꽃살문
*전남 강진
월출산 도갑사(月出山 道岬寺)미륵전 솟을꽃살문
*전남 강진
월출산 무위사(月出山 無爲寺)극락보전 솟을민꽃살문
*전남 강진
월출산 무위사(月出山 無爲寺)극락보전 판문
*전남 구례
지리산 화엄사(智異山 華嚴寺)각황전 솟을민꽃살문
*전남 구례
지리산 화엄사(智異山 華嚴寺)각황전 솟을민꽃살문
*전남 구례
화엄사 구층암 천불보전 솟을꽃살문과 솟을빗살문
*전남 구례
지리산 화엄사 영전 빗살문
*전남 구례
지리산 화엄사 영전 빗살문
*전남 구례
지리산 연곡사(智異山 燕谷寺)대적광전 솟을살문
*전남 강진
만덕산 백련사(萬德山 白蓮寺)대웅보전 빗살문
*전남 해남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천불보전 솟을꽃살문
*전남 해남
두륜산 대흥사(頭輪山 大興寺)천불보전 솟을꽃살문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원통각 통판투조모란꽃살문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원통각 통판투조모란꽃살문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원통각 통판투조모란꽃살문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원통각 통판투조꽃살문
선암사 원통전의 어간에는 흐드러지게 핀 모란이 문을 가득 메우고 있다
이 모란꽃살문은 마치 모란도 민화병풍을 보는 듯 하다.이제는 색이 많이 바랬지만.
모란 잎의 녹색도 은은하고 꽃의 붉은색도 아름답다
장인의 조각 솜씨 또한 예사롭지가 않다
비록 민화풍이지만
모란 꽃의 자연스러움이라든지 모를 죽여 부드럽고 원만하게 표현된 모란 잎과 줄기는
그것을 조각한 소목장의 심성을 느끼게 한다
여러 사람들이 우리나라 사찰 가운데 선암사를 최고로 꼽는 것도 원통전 어간의 모란꽃살문과 같이
비록 작은 부분들일지라도 어는 곳 하나 빠짐없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원통각 궁창...달 속의 계수나무와 새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曹溪山 仙巖寺)원통각 궁창...달 속의 방아찧는 토끼
*전북 김제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미륵전 판문
*전북 김제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미륵전 빗살문
*전북 부안
능가산 내소사(楞伽山 來蘇寺)대웅보전 빗국화꽃살문
*전북 부안
능가산 내소사(楞伽山 來蘇寺)대웅보전 빗국화꽃살문
*전북 부안
능가산 내소사(楞伽山 來蘇寺)대웅보전 빗모란꽃살문
*전북 부안
능가산 내소사(楞伽山 來蘇寺)대웅보전 솟을연꽃살문
솟을꽃살문은
가장 화려한 문 장식이다
솟을살이 교차되는 부분에 모란,국화,연화 등의 꽃들을 새겨 넣고 단청하여 장엄한 것이다
잎사귀 형태의 살에는 녹색으로 단청하고 꽃에는 청,적,백,황색으로 화려하게 꾸민다
솟을꽃살로 장식된 사찰 건물들은 이루 다 열거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 몇몇 예를 들어본다면,
통도사 적멸보궁,신흥사 극락보전,내소사 대웅보전,용문사 윤장대 등의 꽃살문을 대표로 꼽을 수 있다
내소사 대웅보전의 솟을꽃살문은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명품이다
이 건물은 정면 삼 간 측면 삼 간의 다포식 팔작집으로 1633년에 중건하였다
정면 어간에는 네 짝을,좌우 협간에는 두 짝씩의 꽃살문을 두었는데,문의 아랫부분에는 궁창을,
위에는 솟을민꽃살을,그리고 중앙부에는 화려한 솟을빗꽃살문을 장식하였다
돋을새김된 모란,국화,연화의 단청은 사라졌지만 문 가득 만개한 모란은 꽃잎이 바람에 흩날리는 듯하고
싱싱한 국화는 정연한 모습이며,탐스러운 연꽃 봉오리는 다소곳하다
살도 민살이 아니라 모두 잎사귀 형태로 조각하여 한층 정성을 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희미하게 남은 단청에 누렇게 변한 나무의 속살이 고색창연함을 더 하는데,
세월의 흔적에도 불구하고 나무꽃의 화려함에는 변함이 없다
단청이 사라지고 형태만 남은 여기에서 꽃살문의 진정한 모습을 본다
*관조스님 지음 '절집꽃살문'중에서*
*전북 남원
방장산 실상사(方丈山 實相寺)명부전 띠살문
*충남 서산
상왕산 개심사(象王山 開心寺)심검당 띠살문
*충남 서산
상왕산 개심사(象王山 開心寺)대웅보전 빗살문과 띠살문
*충남 공주
태화산 마곡사(泰華山 麻谷寺)대광보전 솟을민꽃살문
*충남 보령
만수산 무량사(萬壽山無量寺)극락전 격자살문
*충남 논산
작봉산 쌍계사(鵲峰山雙溪寺)대웅전 빗국화꽃살문
*충남 논산
작봉산 쌍계사(鵲峰山雙溪寺)대웅전 빗모란연꽃살문
*충남 논산
작봉산 쌍계사(鵲峰山雙溪寺)대웅전 측면 당초문
*충남 논산
작봉산 쌍계사(鵲峰山雙溪寺)대웅전 솟을모란꽃살문
칠장사 대웅전 뒷문 꽃살문
봉은사 법왕루 꽃살문
봉은사 법왕루 꽃문살
봉은사 법왕루 꽃문살
'★佛敎이미지,카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꽉잡으세여 (0) 2011.04.19 고스란히.... (0) 2011.04.19 목탁과 목어의 꿈 (0) 2009.11.22 부처님의 십대제자상 (0) 2009.07.01 부처님 손안의 참새 (0) 2008.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