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깨달음에 조급한 마음 내지 말라
    ◑解憂所 2009. 8. 17. 07:16

    깨달음에 조급한 마음 내지 말라

    “지극한 이치를 궁구함에는 깨침으로써 법칙을 삼음이라.

    그러나 첫째로 마음을 두어 깨치기를 기다리지 마십시오.

    만일 마음을 두어 깨닫고자 기다리면,

     

    기다리는 바의 마음이 도의 안목(道眼)을 장애하여

    급할수록 더욱 더디어집니다.

    단지 화두를 잡아가다가 문득 잡아가는 곳을 향해서 생사심(生死心)이 끊어지면,

    이것이 곧 집에 돌아가 편안히 앉은 곳입니다.”

     



    간화선에서는

    본래 부처라는 것을 철저히 확인하기 위해서 깨침을 법칙으로 삼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결코 깨침을 기다려서도 안 된다.

    시절인연이 무르익어 반드시 떨어지게 되어 있는 저 과실열매처럼

    충분히 익을 때를 기다려야지,

    생짜로 나뭇가지를 흔들어 떨어뜨리거나

    미리부터 나무 밑에서 입을 벌리고 익기를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 된다.

    즉 간절하기는 하되, 속효심(速效心)을 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깨침을 기다리는 마음은 조급한 심정으로 알음알이를 내게 하며,

    이러한 사량 계교야 말로 공부를 제대로 되지 못하게 하고

    의정을 일으킬 수도 없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두를 참구함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주의해야 할 점은

    깨침을 기다리지 않는 것이다.

    깨닫겠다는 일념은 중요하다.

    그러나 깨침을 기다려서는 안 된다.

    단지 화두에 몰두해서 생사심이 파하면 되는 것이다.

    오히려 깨침을 얻고자 기다리다 보면 그로 인하여 장애가 되어

    깨침은 더더욱 더디어질 따름이다.

    간화선은 결코 대오선(待悟禪)이 아니다.

    오히려 그 깨침을 기다리는 마음까지도 화두라는 용광로 속에 집어넣어

    녹여버려야 한다.

     

    인연되어 떨어지는 과실처럼
    충분히 익을 때까지 기다리길

    깨침을 법칙으로 삼되, 깨치기를 기다려서는 안 된다.

    자칫 상충되기 쉬운 이러한 두 가지 원칙을 다 함께 살려나갈 수 있어야

    올바른 화두 참구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화두 참구 시에 오로지 깨침을 중시하다보면,

    다만 미래의 깨달음에만 마음을 두어

    스스로를 못 깨친 중생으로 매어놓고

    중생지견 가운데서 알음알이를 지어 깨닫기를 기다리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본래 부처라는 입장에 치중하다보면

    깨침을 법칙으로 삼지 않고 도리어 방편시하는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두 가지 입장을 함께 살려나갈 수 있는 중도적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현전일념(現前一念)을 중시하는 것이다.

    다만 일념을 단속해서 화두를 들것이요,

    깨치고 못 깨치고 상관없이

    오직 ‘이 뭐꼬?’하는 의심덩어리만이 홀로 뚜렷해지는

    의단독로(疑團獨露)를 달성하고자 노력할 뿐이다.

    이것은 오랜 세월을 요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 여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경각을 얻기 전에는

    완전히 바보처럼 멍청이처럼 여올여치(如兀如痴)하게 지내면서

    분별지해로써 알려고 하지 말고,

    다만 모른 채로 오직 모를 뿐인 화두를 챙겨나가야 한다.

     

    이렇게 되면,

    비로소 깨치고 못 깨치고 상관없이 화두가 한 조각을 이루어(打成一片)

    의단이 독로해지고 시시각각으로 법희선열(法喜禪悅)을 느껴나가

    안락의 법문을 이루게 될 것이다.

    '◑解憂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을 얻고 산을 의지하다   (0) 2009.08.19
    생각이 다한 곳에 이르면   (0) 2009.08.18
    살아있는 사람   (0) 2009.08.17
    허공만 싣고 돌아오도다   (0) 2009.08.14
    사람들, 보기 좋게 하려고  (0) 2009.08.1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