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지묘재일심(運用之妙在一心)
운용지묘재일심(運用之妙在一心)
運 : 돌 운 用: 쓸 용 之 : 의 지 妙 : 묘할 묘 一 : 하나 일 心 : 마음 심
"모든 것을 운용하는 것은 자신의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송 나라 때 북방의 금이 1127년 대군을 일으켜 송의 도읍인 변경을 함락시켰다.
휘종과 흠종 두 황제도 포로가 되어 북방으로 연행되었다.
송은 휘종의 동생을 고종으로 세우고 남쪽으로 옮겼다.
이 때 변경에 남아 금군과의 제 1선을 지킨 것이 종택이다.
종택 밑에는 악비라는 젊은 장수가 있었다.
악비는 많은 공을 세웠는데 종택은 이 청년의 힘을 더욱 뻗게 하려고 악비를 불러 말했다.
“자네의 용기와 재능은 옛적 명장도 못 당한다.
하나 야전을 즐겨하는데 이는 만전의 계략이 아니네.”
하며 군진을 펴는 방식을 설명하는 진도(陳圖)를 보였다. 이 때 악비는,
“진을 치고 다음에 싸운다는 것은 전술의 상식입니다.
그러나 운용의 묘는 자기 일심에 있다고생각합니다.” 하고 큰 소리 쳤다.
종택은 그 후 황제 측근의 움직임에 통분하며 죽었는데 악비는 남송의 명장이 되었고
금의 기세를 누르며 싸웠다. 그러나 금과 화의를 주장하는 진회에게 모살되어
그 죽음을 애석하게 여기는 사람들에 의해 신으로 모셔졌다.
송 나라 말 여진(금 나라를 세운 민족)의 침략으로 수도가 함락하자,
송은 남쪽으로 서울을 옮기었다. 이때 선봉장인 종택(宗澤) 밑에 악비(岳飛)라는 젊은 장수가
있었는데 그는 농민 출신이었지만 힘이 장사에다 지혜까지 갖춘 자였다.
어느 날 종택이 악비가 세운 계획을 보고 말했다.
“자네는 용맹과 재능은 있으나 사군의 진영을 짜는 방식이 조금 약한 것 같네.”
그러자 종택은 기죽지 않고 힘있게 말했다.
“진을 친 후에 싸운다는 것은 병법의 기본상식입니다. 그러나 운용의 묘는 자기 마음에 달려 있습니다(運用之妙在一心).”